경기연구원이 발간한 '경기도 저출생, 고령화 정책 진단 및 재구조화 방안. /자료제공=경기연구원
경기도민 10명 중 여섯 명은 저출생 해결을 위해 가장 적절한 정책으로 '일가정 양립 지원'을 꼽은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경기연구원이 최근 실시한 저출생・고령사회 대응 위한 인구정책 마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저출생 해결을 위해 가장 적절한 정책으로 응답자 58.8%가 '일가정 양립 지원'을 꼽았다. 이어 '자녀 양육 지원' 45.7%, '청년 결혼 지원' 27.4%, '둘째 이후 자녀 대상 지원' 19.6% 등 순으로 조사됐다. 저출생 정책에서 가장 우선할 대상으로는 '무자녀 부부'(46.5%)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19세 이상 경기도 거주 부모 602명을 대상으로 저출생 관련 조사, 50세 이상 613명을 대상으로 고령화와 관련해 조사했다. 응답자의 92.9%는 저출산을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 주된 원인으로 '경제적 부담'을 꼽은 응답자 비율이 77.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일가정 양립 어려움'(41.7%), '출산·자녀 가치관 변화'(25.2%), '주택 마련 어려움'(20.6%) 순으로 선택했다.


결혼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5.4%가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비율은 77.6%로 '없어도 상관없다'(22.4%)는 응답보다 세 배 이상 높았다. 이상적인 자녀 수로는 79.1%가 '2명'을 선택했다.고령화에 관한 설문조사에서는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은 '70세'(57.6%)가 가장 높았으며. 응답자 97.1%는 고령화 문제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경기도 저출생・고령화 정책 진단·재구조화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양적 확대와 예산 투입 중심의 기존 인구정책 시행계획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고 구조를 재설계해 인구정책의 실행력과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인구사회연구실장은 "인구정책은 더 이상 일회성 대책이 아니라, 도민의 생애 전 주기에 걸쳐 작동하는 지속가능한 정책 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