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7일 오전 금융시장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은 지난 24일 오후 증권사 영업점 현장방문차 서울 영등포구 키움증권 본사를 찾아 엄주성 대표이사 등 임원들과 간담회를 하는 이 원장 모습./사진=뉴스1
금융감독원이 이달 27일 오전 이찬진 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었다.
이날 금감원에 따르면 이 원장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선 11월 들어 나타난 시장 불안 요인을 점검했다.

금감원은 그동안 안정적이던 금융시장이 11월에 들어서 주가 조정, 금리 상승, 고환율 지속 등 다소 불안한 모습을 보이지만 펀더멘털의 문제가 아니라 단기차익 실현, 연말 수급 불균형, 해외시장 변동 등 비구조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아울러 내년도에는 본격적인 경기 회복과 기업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금융시장의 안정·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면서도 한국과 미국 금리경로의 불확실성, AI 과잉투자 우려, 부동산시장 불안 등 잠재적 불안요인도 큰 만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상황으로 진단했다.

이에 이 원장은 금융안정과 소비자보호에 빈틈이 없도록 모든 임직원이 경계심을 가지고 업무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이 원장은 "고위험 해외파생, 레버리지 상품 투자를 부추기는 이벤트 등 마케팅을 억제시키는 등 소비자보호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증권사별 신용공여 한도 및 취급 동향을 일일 모니터링하면서 리스크관리를 강화하고 이상징후 발생시 선제적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금융권 외화자금 조달 여건과 외화유동성은 양호한 상황이지만 일시적 수급 불균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외화유동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국내외 금융시장 급변동시 반대매매, 마진콜 등이 발생할 수 있는 투자현황, 파급경로 등을 면밀히 점검하여 잠재위험을 철저히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연말 금융권 퇴직연금 유치경쟁 등에 따른 급격한 머니무브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금시장과 금융사 유동성 상황을 밀착 관리해야 할 것"이라며 "해외투자나 부동산으로 쏠린 자금이 국내 산업의 혁신성장에 투자되도록 종투사 IMA 제도 정착, 금융사 자본비율 유인체계 개선 등 차질없이 추진하자"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