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30만명의 생계가 벼랑 끝에 섰다"며 "매장은 텅 비고 협력·납품 업체는 연쇄 부도 위기, 노동자들은 임금 체불과 해고 불안 속에서 버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모든 것이 대주주 MBK의 약탈적 경영 때문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며 "10년간 부동산 매각과 고배당으로 이익만 챙기고 위기가 오자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민주당은 그동안 국정감사와 현장 방문을 통해 MBK의 ▲약탈적 인수 구조 ▲불법 단기 회사채 판매 ▲경영 부실 등을 파헤쳐왔다.
김 원내대표는 "금융감독원도 책임을 확인해 MBK에 제재 통보를 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MBK의 책임은 엄정하게 묻되 홈플러스는 반드시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 공적 구조조정 카드를 포함한 모든 방안을 신속히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김 원내대표는 "당정 협력을 통해 유암코 등 공적 구조조정 회사가 불투명한 채무구조를 정리하고, 전문 유통기업이 인수에 나설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홈플러스는 투기자본의 전리품이 아니라 국민의 생계다"라며 "민주당은 MBK 책임을 끝까지 묻고, 노동자·협력업체·전단채 피해자 보호까지 반드시 지키겠다"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은 지난 26일에도 'MBK 홈플러스 사태 해결 태스크포스(TF)' 회의를 통해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해 이제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MBK를 향해서도 사재 출연 등 '통 큰 결단'을 요구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