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와 금융감독원은 28일 서울 여의도 위치한 금융감독원 본원에서 '모험자본 생태계와 상생금융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중기부 장관, 금감원 원장, 벤처기업협회·이노비즈협회·금융투자협회·한국벤처캐피탈협회·미래에셋증권·IBK증권·KB자산운용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최근 '생산적 금융'이 강조되면서 금융업계 전반에서 모험자본 공급 확대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효율적인 모험자본 공급을 위해 금융시장과 중소·벤처기업 업계 간 긴밀한 소통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중기부와 금감원은 금융시장과 혁신 중소·벤처기업 간 연결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이번 업무협약을 체결해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주요 협약 내용을 보면 우선 중기부·금감원·유관기관 협의체를 통해 위험가중치 등 금융권의 벤처투자를 제약하는 건전성 규제 및 중소·벤처기업 금융 애로 개선방안을 논의한다. 연기금·퇴직연금 등 다양한 자금이 벤처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등 다양한 협력 과제를 도출해 추진한다.
전체 벤처투자 시장을 조망하기 위한 통계 고도화, 투자자 및 피투자기업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모험자본 관리·감독 협력 강화도 추진한다.
아울러 모험자본이 취지에 맞게 공급되도록 기술보증기금이 보유한 기술평가정보, 벤처투자 업계가 보유한 유망기업 정보 등을 금융권에 공유해 유망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융자 이어달리기를 유도한다.
기술평가정보는 K-TOP(Korea Technology-rating Open Platform)으로, 인공지능 기반 기술·기업 평가 플랫폼으로 시중은행과 연계한 원스톱 대출 서비스를 추진 중이다.
마지막으로 금융회사와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상생금융지수의 시장 안착, 동반성장대출 활성화 등 상생금융 확산을 위한 협업도 본격화한다.
상생금융지수는 금융권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대상 상생금융 역할을 평가해 수치화한 지표로 2026년 도입 예정이다. 동반성장대출은 대기업 등이 협력업체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은행에 무이자 또는 저금리로 자금을 예치해 협력업체의 대출금리를 일부 지원하는 대출이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K-벤처·스타트업의 도전과 혁신은 복합위기를 돌파할 최선의 성장동력으로, 이들이 AI·딥테크 시대를 선도할 유니콘·데카콘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성장자금을 뒷받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주부터 시작된 '제1회 벤처주간'에 벤처업계와 금융투자업계가 한 자리에 모여 모험자본 생태계와 상생금융 활성화를 위한 협력을 본격화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다"며 "오늘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글로벌 벤처 4대 강국 도약과 이를 뒷받침하는 연 40조원 벤처투자 시장 조성을 위해 양 기관이 다양한 협력 과제를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모험자본 정책의 성패는 기업의 성장단계별로 적시에 자금이 공급되고 회수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달려있다"며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역동적인 K-벤처로의 전환, 중소기업-금융권의 동반 성장 요구에 부응해 모험자본과 상생금융을 적재적소에 지원하는 체계를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