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제공=다율모기지
주택구입자금대출(생애최초구입자금·매매잔금·분양잔금 대출 등)이나 주택·아파트담보대출 갈아타기에 관심이 있다면 은행별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변화를 눈여겨보게 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4.1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은행 금리가 많이 인하됐다는 소식에 직접 내방하거나 전화로 고정금리상품과 변동금리상품을 비교해보려는 고객이 늘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렇게 노력한다고 해도 각 은행별로 매일 변하는 금리를 일일이 확인하기란 거의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주택·아파트담보대출 금리비교 정보업체 ‘토탈뱅크’의 관계자는 "적격대출의 경우 은행연합회와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를 통해 금리를 확인하는 것이 편리하다"며 “이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들의 경우도 은행에 먼저 문의하기보다 가정이나 직장에서 온라인을 통해 한 눈에 금리비교를 해보고 자신의 상황과 은행의 대출조건을 확인한 후 전문상담원들이 지정해주는 은행과 한번에 거래를 진행하면 시간도 줄이고 대출거래의 불편함도 완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은행에 가기 힘든 직장인이나 금융거래 초보자들의 상담이 크게 늘었다"고 덧붙였다.
토탈뱅크(http://www.totalbank.co.kr)는 전 금융권(은행, 보험사, 농협, 수협, 새마을, 신협, 저축은행, 캐피탈 등)에서 제공하는 주택·아파트·빌라·단독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보증금담보대출 등의 금리와 조건을 개인신용조회 없이 무료로 확인 가능한 금리비교 정보업체다.
주택·아파트담보대출 신청시 고려할 사항들
- LTV(담보인정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MCI(모기지신용보험)가입여부
- 직장인이면 소득공제혜택여부, 얼마동안 대출을 사용할지 대출기간
- 대출시 지출해야 할 설정비나 인지세, 채권할인비용
- 중도에 목돈이 생겨 조금씩 상환할 수 있는지(중도상환수수료)
- 상환방법(원금균등분할상환, 원리금균등분할상환, 거치유무 등)
(제공:토탈뱅크)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