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는 지난 26∼27일 경기도 화성에 있는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주행시험장에서 급발진 현상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여러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든 뒤 급발진 실험을 했다.
실험에서는 ▲가속페달 센서 오작동 ▲스로틀밸브 강제 개방 ▲전자제어장치(ECU)에 가습 ▲자동차 부위별 전기적 충격 ▲주행 중 가속페달과 제동페달 동시 밟기 ▲ECU 중앙처리장치 가열 및 접촉 불량 ▲연소실 카본 퇴적 등 7가지 상황에 대해 실험이 이뤄졌지만, 급발진 현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날 실험 현장은 자동차 전문가와 취재진을 비롯해 참관 신청을 한 업계 관계자와 일반인 등 100여명이 지켜봤다.
국토부 관계자는 “실험에서 급발진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의혹 제기가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정부는 객관적 사실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급발진 신고는 지난해 136건 접수됐으며, 올해 1~5월 접수된 신고는 56건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