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긴 기름값이 리터당 2000원을 육박하는 초고유가 시대다. 돈을 도로 위로 줄줄 흘리는 것만 같은 씁쓸함에 애꿎은 차는 주차장에 모셔둔 채 대중교통으로 출근길에 오르는 이들이 어디 한둘이랴.
그런데 만일 기름값 한푼 들이지 않고 출퇴근이 가능하다면? 이 같은 질문으로 시작한 295호 <프리우스 PHV 시승기: ‘출퇴근 기름값 제로’ 현실일까?> 제하 기사를 접한 누리꾼들의 반응은 예상대로 뜨거웠다.
▶일본의 저 기술력에는 박수를 보낼 수밖에 없습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하이브리드 기술은 이미 최고죠. (Rage5가넷님)
▶쪽바리 소리 들어도 어쩔 수 없다. 나 이 차 나오면 사련다! (홈런애드님)
▶대단하네. 거부할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이 밀려오는 것 같다. (플래드낵님)
수입차, 특히 일본 브랜드 차량에 대한 기사마다 달리는 국내 모 브랜드 차량과의 비교 댓글은 이번만큼은 과감히 무시했다. 대신 꼭 짚어줘야만 하는 누리꾼들의 의문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근데 저 차 집에서 충전하면 누진세 폭탄 맞는 거 아니냐. (무사합니다님)
▶휘발유값은 제로 맞네. 그런데 전기세는? (네리마님)
프리우스 PHV는 EV모드로 작동될 경우 최고 100km/h 속도로 최대 26.4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26.4㎞는 일본인들의 평균 출퇴근 거리와 생활 주행거리를 감안해 세팅된 수치다. 우리나라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체 측 설명이다. 더 긴 거리를 달리게 할 수도 있었지만 배터리가 더 커져야 하고 충전시간도 더 걸려 배제했다.
집에서 220V 코드를 통한 완충까지는 1시간30분 정도가 걸린다. 시내에서도 220V 코드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지 전기를 채울 수 있다. 한번 충전할 때 드는 비용은 최저 200원에서 누진제 적용 시 1700원가량까지도 상승할 수 있다. 한달에 20일 왕복 26.4㎞ 출퇴근한다고 가정할 경우 4000원~3만4000원이면 충분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맞다. 많은 이들이 바라던 대로 ‘완벽한 공짜’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리우스 PHV가 왜 현 시점에서 현실적이면서도 획기적인 차량이 될 수 있을 지는 다음의 댓글이 잘 설명하고 있어 대신한다. 공교롭게도 아이디마저 ‘대신man’이다.
▶100% 전기차는 활동하는데 제약이 많을 듯. 휴대폰도 아니고 충전기 일일이 들고 다니면서 충전하기도 어려울 거고. 전기 충전소가 없다시피 하니…. 현재로썬 모터+엔진이 답일 듯. (대신man님)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296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