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파리바게뜨는 올가을 경상북도 영천의 사과를 사용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이번에 선보인 메뉴는 영천의 미니사과를 활용한 '가을사과요거트케이크'를 비롯해 '가을엔 우리사과빵', '가을엔 우리사과롤' 등이다.
이 밖에도 파리바게뜨는 2009년부터 현재까지 강원도 1곳, 경상도 3곳, 전라도 5곳, 충청도 1곳 등과 농산물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다양한 관련 제품을 내놓고 있다.
충북 영동에서는 청포도, 전남 신안에서는 마늘, 전북 익산에서는 찹쌀을 각각 공급받아 케이크ㆍ마늘파이ㆍ찹쌀도넛 등의 제품군에 활용하고 있다.
이 밖에도 파리바게뜨는 2009년부터 현재까지 강원도 1곳, 경상도 3곳, 전라도 5곳, 충청도 1곳 등과 농산물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다양한 관련 제품을 내놓고 있다.
충북 영동에서는 청포도, 전남 신안에서는 마늘, 전북 익산에서는 찹쌀을 각각 공급받아 케이크ㆍ마늘파이ㆍ찹쌀도넛 등의 제품군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지난 봄에 출시한 경남 산청 딸기를 이용한 '봄엔 딸기요거트케이크'는 일반 제품 대비 2배 매출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파리바게뜨 관계자는 "국내 농가들이 생산한 농산물은 수입 농산물에 비해 짧은 유통과정과 재배과정의 안전성을 소비자들로부터 인정받고 있다"며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농가를 도울 수 있는 국산 농산물 사용을 더욱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파리바게뜨 관계자는 "국내 농가들이 생산한 농산물은 수입 농산물에 비해 짧은 유통과정과 재배과정의 안전성을 소비자들로부터 인정받고 있다"며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 농가를 도울 수 있는 국산 농산물 사용을 더욱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뚜레쥬르, 순녹차케이크
뚜레쥬르 역시 원산지를 강조한 제품을 출시해 인기를 끌었다.
제주도와 경남 하동에서 자란 어린잎 유기농 녹차를 사용한 '순녹차 시리즈', 해남의 단호박을 이용한 '순호박 시리즈'가 그것. '순차광녹차바게트', '순차광녹차크림빵' 등은 담백하고 부드러운 맛으로 인기를 끌었다.
또 '순호박 타르트'를 비롯해 '순호박 크림치즈케이크', '순호박 찰떡브레드' 등의 제품은 제철재료를 사용한 점과 지역을 강조한 마케팅으로 '건강한 빵'이라는 이미지를 줄 수 있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