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1%를 기록하면서 올초 전망했던 연간 성장률 2.8%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은 25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7~9월 실질 GDP는 전기 대비 1.1% 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한국은행의 전망치였던 1.0%를 뛰어 넘은 것으로 지난 2분기와 같은 성장이다.


전 분기대비 GDP성장률은 지난 2011년 1분기 1.3%를 기록한 이후 0%대를 유지했다. 그러나 올 2분기 1.1% 성장 이후 3분기도 똑같은 성장을 보인 것. 이 수치를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3.3%나 성장한 것이다.

3분기 GDP성장률이 증가할 수 있었던 이유는 민간 소비가 늘었기 때문이다. 3분기 민간소비는 전기대비 1.1%를 성장했으며 2분기 대비 0.4%포인트 증가했다.

아울러 민간소비는 비내구재와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늘어났으며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역시 증가세를 보였다.


건설투자의 경우 건물건설 및 토목건설이 각각 2.7% 증가했으며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1.2% 증가세를 기록했다.

또한 제조업과 전기가스수도업, 건설업 및 서비스업 생산이 모두 증가했다. 제조업은 전기전자기기, 석유화학제품, 음식료품, 가구 등이 늘어나면서 1.6% 증가세를 보였으며 농림어업은 벼, 양돈 등을 중심으로 2.0% 성장했다.

건설업 역시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1.2% 성장했다. 전기가스수도업도 전력판매량이 늘어 1.0% 늘었고 서비스업은 부동산·임대, 교육이 감소했으나 보건·사회복지, 도소매·음식숙박,금융보험, 문화·오락이 증가해 0.7% 성장했다.

정영택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은 “올해 전망에 대해서는 언급하기 어렵다”면서도 “다만 지난 3분기 1.1% 성장률을 기록한 것은 예상 성장경로 상단에 위치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