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위크>는 304호 커버스토리 <한국기업이여, '혁신 아이콘' 돼라!>를 통해 우리 기업들이 다음 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추구해야 할 '혁신적 R&D'의 실체와 각 산업군의 '혁신 현주소'를 짚어봤다.
그중에서도 국내 IT부문의 혁신적 R&D 현주소를 살펴본 <휘는 스마트폰, 이제 시작된 혁신>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이 뜨거웠다. 국내 기업들에게 혁신적 R&D의 고삐를 틀어쥘 것을 주문하는 댓글이 쏟아졌다.
▶커브드(휜) 스마트폰이 접고 또 접을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하면 아이패드나 갤럭시탭 따위는 들고다닐 필요가 없게 된다. 손목시계 크기로 접어서 팔목에 감고 다니다가 쓸 때는 A4용지 크기가 되는 거라면 어떤 사람이 안 사고 배기겠나. 빨리 만들어 봐라. 죽은 잡스가 무덤에서 나와 새치기하기 전에. (fgyu****님)
▶아직은 뭔가 부족하다. 단순히 휜다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뭔가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입력장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터치는 충분히 정교하지 못하고 펜은 거추장스럽다. 손동작을 인식하는 립모션(Leap Motion) 등 뭔가 조금 더 추가되면 휘는 화면보다 이게 더 혁신적일 것 같다. (red2****님)
실용성에 대한 얘기도 나왔다. 신기술을 선보였다는 점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일상의 불편을 해소해줄 수 있을 정도의 활용도 높은 제품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
▶휘는 디스플레이가 생각보다 활용도가 없다. 스마트폰이나 패드를 마음대로 휘게 하면 오히려 구부러져서 불편하니 못 쓰고 의류나 시계 등에 반영해봤자 액세서리에 불과해 스마트폰 이상의 활용성을 가지지 못한다. 새로운 수요 가치를 창출해 새 카테고리를 만들지 못하면 이 기술은 조용히 죽었다가 한 15년 뒤에 뜬금없이 새롭게 등장할 거다. 애플이 아이폰을 처음 낼 때 적용된 기술 중 신기술이 있었나. 죄다 오래된, 그러나 가치를 찾아내지 못한 기술들을 결합해 엄청난 가치를 창출한 셈인데 딱 그런 꼴 나기 좋은 기술인 듯. (hsrp****님)
▶그저 상상만 했던 미래의 모습들이 실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 앞으로 더욱 발전해 몸이 불편한 장애인에게도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 (wcf0****님)
신기술보다는 저렴한 가격에나 판매됐으면 좋겠다는 솔직한 의견을 남긴 누리꾼도 있었다.
▶실용성이 있어도 상업적으로도 가격이 싸야 먹힌다. (real****)
▶가격도 혁신이다. (gkrr****)
한번 주목받고 슬그머니 사라지는 기술이 아닌, 일상에 혁신을 가져올 정도의 실용성을 갖췄으면서도 소비자들이 부담없이 접근할 수 있는 제품으로 발전하는 것. 혁신적 R&D는 바로 거기서 완성된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05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