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에 따르면 이번 압수는 미국 수사국이 인장 9점에 대한 사진 자료 등 정보를 지난 9월 23일 문화재청에 제보하였고, 문화재청은 '보인부신총수(寶印符信總數)'등 역사적 기록에 따라 9점의 인장이 조선왕실과 대한제국의 인장임을 확인하고 대검찰청을 경유하여 지난 10월 21일 미국 수사당국에 수사를 요청하면서 이루어진 것이다.
압수된 인장은 대한제국 국새인 ‘황제지보(皇帝之寶)’, 순종이 고종에게 ‘태황제(太皇帝)’의 존호를 올리면서 1907년에 제작한 ‘수강태황제보(壽康太皇帝寶)’, 조선왕실에서 관리임명에 사용했던 ‘유서지보(諭書之寶)’와 ‘준명지보(濬明之寶)’, 조선 헌종의 서화 감상인인 ‘향천심정서화지기(香泉審定書畵之記)’를 비롯하여 조선왕실에서 사용한 ‘우천하사(友天下士)’, ‘쌍리(雙螭)’, ‘춘화(春華)’, ‘연향(硯香)’ 등 모두 9점.
특히, ‘황제지보(皇帝之寶)’는 대한제국의 선포(1897년)를 계기로 제작된 것으로 고종황제의 자주 독립의지를 상징하는 국새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 압수를 계기로 한국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반출된 문화재의 환수를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 대검찰청, 미국 수사당국과 한․미 수사 공조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또 국외소재문화재재단과 함께 현지 실태조사도 체계적으로 할 것임을 밝혔다.
한편 국새, 어보 등 인장 9점은 미국 수사당국의 몰수절차(4개월 이상 소요)를 거쳐 내년 6월 이후 국내로 반환될 것으로 보인다.
수강태황제보(사진제공=문화재청)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