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딩부케의 유래, 부토니케, 연예인 결혼'

부부 남편 신부(제공=이미지투데이)
부활의 정동하, 조정치·정인 등이 이어지며 결혼식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신부가 들게 되는 웨딩부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에 한 포털사이트의 주요 키워드로  '웨딩부케의 유래'가 등장했다. 

부케는 라틴어 '작은 숲(bosquet)'이라는 단어에서 비롯되어 프랑스어로 다발 또는 묶음(bouquet)이라는 뜻으로 불리게 됐다고 한다.

'웨딩부케의 유래'는 기나긴 역사를 자랑한다. 무려 기원전 3000년경 이집트에서부터 시작된 것. 고대 왕들이 권력을 나타내기 위해 풍요를 상징하는 곡물 다발을 부케로 사용했고 한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중세에 이르러 부케의 소재가 꽃으로 바뀌면서 남성이 사랑하는 여자에게 청혼하는 용도로 쓰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한편 부케를 받은 여자는 남자의 구애에 대한 허락의 표시로 꽃묶음 중 한 송이를 뽑아 남자의 가슴에 달아 줬는데 여기서 부토니아가 생겨났다고 한다.

그러면 결혼식 후 신부가 웨딩부케를 던지는 것의 유래는 무엇일까? 꽃을 이용하기 전에는 곡식의 이삭 다발을 들고 입장했는데, 결혼식이 끝나면 다산을 기원하며 신부가 머리위로 곡식 알갱이를 던지고 친구들이 이를 받는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런 행위에는 신부처럼 좋은 짝을 만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