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코스피와 코스닥, 코넥스 등에 상장된 1827개사의 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1만3065명이 보유한 주식가치는 총 124조955억원(24일 종가 기준)에 달하고 있다.
이 중 상위 1%(131명) 주식부자가 보유한 주식가치는 77조6701억원으로 전체의 62.6%를 차지했다.
상위 10%(1307명)의 보유 주식가치가 92.2%인 114조1161억원을 기록한 반면 나머지 90%는 전체의 7.8%인 9조9834억원에 불과해 상장사 주식부자 사이에서도 ‘부의 쏠림’ 현상이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상장사 상위 1% 주식부자 131명 중 스스로 부를 쌓은 ‘자수성가형’ 부자는 34명으로 전체의 26%였다.
▲머니투데이 DB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의장의 주식가치는 1조1902억원으로 자수성가형주식부자로는 유일하게 1조원을 넘었다. 이준호 NHN엔터테인먼트 회장은 9584억원 이 의장의 뒤를 이었으며 김준일 락앤락 회장이 6722억원, 오세영 코라오 회장이 5541억원, 김택진 엔씨소프트 회장이 5328억원, 이정훈 서울반도체 사장이 3827억원을 기록했다.
연예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연예인 출신 연예기획자인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회장(1928억원)과 양현석 YG엔터테인먼트 대표(1810억원)도 상위 1% 주식부자 대열에 합류했다.
’상속형 부자’는 10대 재벌가 출신 51명을 포함해 자산 5조원 이상 대규모기업집단에 속한 재벌가 출신이 전체의 63.4%인 83명을 기록했다. 상위 1% 주식부자 10명 중 6명 이상이 재벌가 출신인 것이다.
1조원 이상을 기록한 16명 가운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의장을 제외한 나머지 15명은 모두 재벌가 출신이었다.
▲머니투데이 DB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11조5367억원으로 상장사 전체 주식부호 1위를 질주했고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장남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6조7138억원, 3조585억원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이 2조6337억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조5304억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1조9726억원, 정몽준 새누리당 국회의원이 1조9719억원의 순이었다.
상위 1%에 든 재벌가 출신 주식부자를 가문별로 보면 현대가 출신이 1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LG가 출신이 9명, 삼성가와 GS가, 효성가, 영풍가 출신이 각 8명, 롯데가 출신이 5명을 각각 기록했다.
SK가를 비롯해 한진가, 금호아시아나가, 동부가, OCI가 출신이 각 3명, 한화가, 동양가, 아모레퍼시픽가 출신이 각 2명씩이었고 두산가, 코오롱가, 태광가, 세아가 등이 1명씩 상위 1% 주식부자에 이름을 올렸다.
한편 상위 1% 주식부자 전체 평균 나이는 55.6세였으며 ’자수성가형’ 부자의 평균 나이는 60.3세로 상속형 부자(54세)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12명으로 모두 재벌가 출신이었다. 특히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의 장녀 민정 씨는 22세의 나이에 물려받은 주식가치가 1344억원에 달해 상위 1% 부자대열에 올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