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암 중에서 갑상선암을 제외하고 가장 흔한 암이다. 전체 여성암 발생의 14.3%로, 발생율도 매년 6%씩 증가하는 추세다.
유방암은 발생 빈도뿐만 아니라 잦은 전이·재발로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근치적 절제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약 40%에서 재발하며, 뼈, 간, 폐, 림프절, 늑막 등에 전이가 자주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많은 유방암 환자들이 수술 후 예방차원에서 항암 및 방사선을 시행, 이후 전이가 되면 다시 수술과 항암을 재개하고 내성이 생기면 항암제를 바꾸는 방식을 반복하게 된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전이성 유방암의 주된 치료에는 호르몬치료, 항HER2 요법, 세포독성 항암화학요법 등이 있다. 하지만 내성과 부작용으로 인하여 치료를 지속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은 가운데 최근 대체요법으로서 한방면역치료 등의 치료법을 찾는 이들도 늘고 있다.

실제 폐엽절제수술 이후 항암화학요법을 수차 시행하다가 골수억제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나 중단했던 A씨(53세·여성)는 이후 폐에 다발성 결절이 발생한 상황에서 한방병원을 찾았다.

A씨의 경우는 2012년 7월 약침 투여, 침구 및 탕제 등의 한방치료를 시작하여 2013년 5월 PET-CT 상 정상 소견을 받은사례다.


당시 A씨의 치료를 담당한 소람한방병원 한재복 원장은 “한방치료가 수술,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임은 물론 더 이상의 서양의학적인 치료가 어려울 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환자의 치료 경과와 연구 사례는 2013년 12월 25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7권 6호에 논문으로 게재된 바 있다.

도움말=소람한방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