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개최하는 동계올림픽의 특성상, 날씨가 경기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기 때문에 올림픽 운영을 위해서 신속․정확한 기상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국제올림픽조직위원회(IOC)는 올림픽 개최를 위하여 기상관측 인프라 구축, 3년 이상의 기상관측자료, 경기장과 주변 지역의 연간 기상분석자료 등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번에 구축된 ‘평창동계올림픽 스마트 기상지원시스템’은 크게 경기장 기상관측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기상관측자료 수집․통계 서비스로 나뉜다.
평창동계올림픽을 위해 경기장 기상관측을 위한 인프라는 경기장 내의 독립형 기상관측 센서, 경기장 주변의 기상을 관측하는 자동 기상관측장비, 적설 상황을 감시하는 영상 적설관측장비 등이 구축되었다.
또 기상관측자료 수집, 통계 서비스는 경기 종목별 날씨를 비롯하여 도로상황, 문화․관광 정보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스마트 기상지원시스템 홈페이지(pc2018.kma.go.kr)에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기상청은 "14일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련 기관과 함께 ‘평창동계올림픽 스마트 기상지원시스템’의 보고회를 마친뒤 본 시스템을 활용한 관광, 스포츠 분야 발전 방안, 스포츠 행사 기상 지원 체계 마련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