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장에서는 5억원 이상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들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면서 대형 브랜드간에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대형브랜드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10-20평 미만 소형커피점들의 임대물건이 부동산중개업소에 속속 접수되고있으며, 최근 상당부분의 대형 매장들은 작년말부터는 빙수아이텝으로 갈아타는 기현상까지 일어났다.
카페창업시장의 경쟁이 가장 치열한 상권 중 하나인 홍대상권의 카페를 운영하는 사장들 사이에서는 카페에서 커피만 팔아서는 월세내기 정말 힘들다는 한숨섞인 얘기가 크게 들리고 있다. 그래서 눈꽃빙수열풍이 일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창업통 김상훈 소장은 블러그 홈페이지(http://blog.naver.com/startceo)를 통해 '카페창업'에 대한 수요와 앞으로 전망을 제시했다.
▲ 소자본 창업아이템인 '커피베이'가 프랜차이즈 창업아이템을 프랜차이즈 산업박람회에서 소개하고 있다. (사진=강동완 기자)
◇ 커피전문점 창업, 성공가능성 여부는..
김 소장은 "최근 720만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창업시장을 노크하면서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는 카페창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라며 "청년창업수요 역시 특별한 기술력이 없어도 간단한 바리스타 기술 정도만 익힌다음 카페창업을 선호하는 젊은층 카페창업 수요는 갈수록 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상권에서는 분당 카페골목, 죽전 카페골목, 판교카페골목 등 전국의 테마카페상권이 많이 생겨나는 것도 카페창업수요가 많아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전국 지자체의 카페관련 교육프로그램의 수강자는 엄청난 수가 배출되었다. 이뿐이랴 전국의 바리스타를 양성하는 학원들은 우후죽순으로 늘어났으며, 바리스타 과정만 수료하면 카페창업 성공의 주인공이 바로 되는듯한 착각에 빠지게 하기도 했다.
◇ 프랜차이즈 카페 vs 개인 카페,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면 될까요?
최근 서울시 창업스쿨 카페반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카페창업시 프랜차이즈 형태의 카페를 오픈하겠다는 수요는 전체 창업자의 20%미만이었다.
◇ 프랜차이즈 카페 vs 개인 카페,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면 될까요?
최근 서울시 창업스쿨 카페반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카페창업시 프랜차이즈 형태의 카페를 오픈하겠다는 수요는 전체 창업자의 20%미만이었다.
프랜차이즈 카페를 창업하겠다는 창업자가 급격히 줄고 있다는 반증이다. 반면 1호점도 오픈하지 않았으면서 자신들이 직접 프랜차이즈 본사가 되겠다는 교육생은 나날이 늘고 있다.
김 소장은 "프랜차이즈 카페의 가장 큰 강점이라면 자금만있으면 본사에서 알아서 오픈해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다는 점이다."라며 "이러한 점 때문에 초보창업자들은 여전히 프랜차이즈 본사를 노크하는 발길은 이어지고 있다고 보여진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프랜차이즈 카페의 가장 큰 강점이라면 자금만있으면 본사에서 알아서 오픈해 줄 수 있는 잇점이 있다는 점이다."라며 "이러한 점 때문에 초보창업자들은 여전히 프랜차이즈 본사를 노크하는 발길은 이어지고 있다고 보여진다."고 말했다.
반면, 독립점 형태의 카페의 가장 큰 강점이라면 투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이다.
라이프사이클이 프랜차이즈 보다는 길수 있다는 잇점이 있는 반면 아이템컨셉, 상품컨셉 시설컨셉. 브랜딩작업까지 창업자가 직접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때문에 선뜻 실행하기는 늘 고민이 앞선다고 할 수 있다.
◇ 실패율을 줄일 수 있는 카페 창업 절차와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커피에대한 전문성 취득하는 과정 필요하다. 커피바리스타과정,커피교육기관을 통해서 커피에 대한 기본 지식을 획득하는 것은 기본중의 기본과정이다.
◇ 실패율을 줄일 수 있는 카페 창업 절차와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커피에대한 전문성 취득하는 과정 필요하다. 커피바리스타과정,커피교육기관을 통해서 커피에 대한 기본 지식을 획득하는 것은 기본중의 기본과정이다.
하지만 카페창업자가 반드시 바리스타과정을 이수할 필요는 없다. 최근 카페창업자들 중에서는 유능한, 싹싹한 바리스타를 소개받으면 되지 않겠냐는 의견도 지배적이다.
창업자의 투자환경에 따른 시장조사가 뒤따라야 한다. 현재 대기업커피브랜드와 중소개인브랜드의 영업상황이나 운영상황을 잘 체크하는 것도 중요하다.
개별 커피점의 시간대별 내점고객수를 체크해보는 적극적인 시장조사법도 필요하다. 요즘 한창 뜨고 있는 빙수카페의 다음버젼은 무엇일까에 대해서도 늘 관심을 가져야 한다.
김 소장은 "커피전문점 창업시, 상품경쟁력 및 가격경쟁력, 시설경쟁력, 서비스마케팅의 차별화 포인트를 찾아야 한다."라며 "상권 또는 점포개발시, 경쟁력있는 전문가를 통한 필터링도 중요하며, 점포입지개발 후 오픈을 위한 디테일한 사업계획을 세팅하고, 실행에 들어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소장은 "커피전문점 창업시, 상품경쟁력 및 가격경쟁력, 시설경쟁력, 서비스마케팅의 차별화 포인트를 찾아야 한다."라며 "상권 또는 점포개발시, 경쟁력있는 전문가를 통한 필터링도 중요하며, 점포입지개발 후 오픈을 위한 디테일한 사업계획을 세팅하고, 실행에 들어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