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 /사진=뉴스1
유엔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국제형사법정에 세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국경을 봉쇄한 것으로 알려져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북 전문 인터넷 라디오방송인 <자유북한방송>은 지난 9일 함경북도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9일 아침 8시부터 11일 저녁 20시까지 전국에 특별경비주간을 선포하고 유동금지와 국경봉쇄령이 내려졌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국가적인 명절 때마다 내려지는 특별경비지만 이번에는 그 분위기가 조금 달라 주민들이 술렁거린다”며 “중요한 것은 지난 2일 평양으로 들어갔던 무역일꾼이 나오질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해마다 신년과 김정일 생일(2월16일), 김일성 생일(4월15일), 광복절(8월15일), 공화국 창건일(9월9일), 당 창건일(10월10일) 등 국가적인 명절에는 ‘특별경비주간’을 설정한다.

이 시간 주민들의 이동을 차단했다. 그러나 평양으로 이미 들어갔던 주민들도 내려 보내지 않고 통제하고 있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는 게 이 매체의 설명이다.


북한이 평양을 봉쇄하기 전 유엔은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해 최고지도자인 김정은 위원장을 국제 형사법정에 세우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계획이 알려졌다.

유엔은 유럽연합(EU)이 작성한 ‘김 위원장 등 북한 내 반(反)인권행위 관련자를 국제형사재판소(ICC) 등에 회부한다’는 내용의 북한 인권결의안 초안을 비공개로 회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