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에볼라' 미래창조과학부는 16일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가 열리는 부산 벡스코에 에볼라 바이러스 대응 방안으로 ‘열감지기’ 5대를 설치하고 교육을 실시했다. /사진=뉴스1
'부산 에볼라'미국에서 에볼라바이러스로 1명의 사망자와 2명의 확진 감염자가 발생한 가운데 에볼라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국내외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 부산광역시에서 열리는 한 회의에 에볼라 발생국 관련 인사들이 대거 참가하는 것으로 드러나 관리감독을 철저하게 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오는 20일부터 다음달 7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2014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에 에볼라 발병국적 참가자들이 대거 방문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는 전 세계 193개국 정보통신 분야 장관급 인사, 책임자 등 3000여명이 참가한다. 관련기업체와 관광객 등을 합치면 60여만명이 부산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가운데는 세계보건기구(WHO) 관리대상국에 포함된 에볼라 발생국인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국적 28명이 포함됐다. 또한 WHO 관리대상국에는 제외됐지만 에볼라가 발병된 바 있는 세네갈, 나이지리아, 콩고민주공화국 출신 관계자 141명이 참가자 명단에 올랐다. 즉 참가 등록자 169명이 에볼라 발생국 관련 인사다.
보건당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보건당국은 발생국 참석자 전원에게 외부 출입 자제를 요청하고 잠복기간(3주) 내내 추적 관리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벡스코 내 발열 감지기 5대를 설치하고 별도의 의무실을 운영키로 했다. 관리대상국 참가자에 대해서는 별도의 숙소를 마련한 뒤 매일 오전 8~9시 관리요원이 숙소에서 직접 체온을 측정하는 등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환자발생에 대비해 2개 병원에 6개 격리병상도 확보했다.
지난 16일에는 질병관리본부와 합동으로 벡스코 일원에서 에볼라 발생 모의훈련을 실시했다.
그럼에도 시민들의 불안은 계속된다. 지역 내에선 부산에 지역구를 둔 정치인들에게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부산시청 홈페이지에도 회의 개최에 항의하는 시민들의 글이 쇄도하고 있다.
이에 대해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 13일 트위터를 통해 “정부는 분명한 안전대책을 밝혀 국민이 걱정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당 조경태 의원 또한 성명을 내고 대회 연기를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누리꾼들은 ‘부산 에볼라’ 우려와 관련해 “정부를 믿을 수 없다”, “회의 취소하는 게 맞는 것 아닌가”, “에볼라바이러스 너무 무섭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