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 DB

한국의 국민총소득(GNI)에서 가계 비중이 1975년 79%에서 지난해 61%수준까지 쪼그라든 반면 기업 비중은 9%에서 26%로 뛰어 올랐다.

한국은행이 지난 15일 발표한 '국민계정(1953∼1999년) 개편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명목 GNI는 1953년 483억원에서 작년 1441조원으로, 60년새 2만9833배로 불어났다. 같은 기간 1인당 GNI는 67달러에서 384배 늘어난 2만6205달러가 됐다. 연평균 10.5%씩 증가한 것이다.


국민계정이란 기업·가계·정부 등 국민경제를 구성하는 모든 주체의 경제 활동과 일정 시점에서 경제 전체 자산·부채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정한 회계기준이다. 이 기준은 1953년부터 지금까지 네 차례에 걸쳐 개정됐다.

한은의 이번 국민계정 개편에 따라 처음으로 같은 기준(2008 SNA)을 통해 지난 1953년부터 한국 경제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게 됐다.

우선 GNI 기준으로 가계소득 비중은 꾸준히 떨어진 반면, 기업소득 비중은 IMF 외환위기를 기준으로 급속히 높아진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지난 1975년 GNI의 79.2%를 차지했던 가계 부문의 비중은 지난해 61.2%까지 떨어졌다. 같은 기간 기업부문 비중은 9.3%에서 25.7%로 증가했다. 정부부문 비중은 9.3%에서 13.1%로 소폭 확대됐다.

또한 비영리단체의 소비(민간소비)가 국내총새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53년 86.5%에서 지난해 51.0%로 현저히 낮아졌다.

설비·건설·지식재산생산물투자가 포함된 총고정자본형성의 GDP 대비 비중은 1950년대 7%대에서 1990년대 30% 후반대로 빠르게 높아졌다. 다만 설비·건설투자가 둔화하면서 GDP 대비 총고정자본형성이 지난해에는 29.7%로 축소됐다.

현재 한국 경제를 끌고가는 원동력인 ‘수출’은 60년 전만 해도 GNI 대비 3%(총액 기준)에도 못 미쳤던 걸로 조사됐다. 수출은 1953년에 GNI 대비 2.9%였으나 1966년에 처음으로 10%대를 넘어섰다. 수출 비중이 10%를 돌파한 지 8년 만인 1973년(25.6%) 20%대를, 7년 만인 1980년(32.1%)에는 30%대를 넘어섰다. 이후 매년 비중을 높여 2013년에는 55.9%의 비중을 차지했다.

농립어업의 비중은 지난 1953년(총부가가치 기준) GDP의 48.2%를 차지했다. 지난해 2.3%까지 줄었다. 이밖에 제조업 비중은 7.8%에서 4배로 커진 31.1%가 됐고, 서비스업 비중도 40.3%에서 59.1%로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업(0.4%→2.3%), 건설업(2.2%→5.0%) 비중도 소폭 상승했다.

총저축률은 지난 1988년 41.7%로 최고점을 찍은 뒤 점점 줄어 지난해 34.4%를 기록했다. 총투자율 또한 하락하는 추세를 이어가 지난해 28.8% 수준까지 떨어졌다. 가계저축률은 1988년 24.4%를 정점으로 빠르게 하락해 작년 수치(4.5%)가 60년 전(4.6%)과 비슷해졌다.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노동소득분배율은 1953년 27.3%에서 1996년 62.4%까지 높아졌다. 이후 오르내림을 반복하다 지난해 61.4%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