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0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함)/사진=뉴스1
정부가 러시아발 금융위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대응 강화에 나섰다. 1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마무리되는 되는 대로 내부회의를 소집해 전반적인 시장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실물경제 및 금융 측면에서 한-러시아간 관계가 깊지 않은 만큼 직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러시아발 금융위기가 국제금융시장 전반으로 전염되거나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제기되는 유로존 경제를 억누를 경우 한국 역시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러시아가 유럽과 크게 연동돼 있는 만큼 실물경제 측면에서 간접적인 영향권에 들 수 있다는 것.
특히 산업별로 대 러시아 수출품목인 자동차와 전자업종, 저유가에 따른 정유·화학업종에 부정적인 영향이 커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앞서 러시아는 지난 1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현행 연 10.5%에서 17.0%로 6.5%포인트 인상했다. 이는 지난 11일 1%포인트 인상에 이어 5일 만에 추가 인상한 것이다.
이 같은 공격적인 금리인상은 러시아가 직면한 경제위기의 강도를 보여준다. 화폐가치가 더 하락하면 소비자의 위험의식이 심화돼 은행 인출을 부추기는 등 러시아경제에 큰 타격을 주기 때문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러시아정부의 최근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러시아경제의 특성상 최근 유가급락이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