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임한별 기자
박은상 위메프 대표는 5일 ‘갑질 논란’과 관련해 공식 기자회견을 열고 “위메프를 아껴주신 많은 분들에게 사회적 물의를 빚고 심려를 끼쳐드려 정말 죄송하다”며 사과했다. 박 대표는 지난달 8일 1차 사과문 발표에 이어 재차 사과에 나선 것과 관련 “이전 사과문에서 경황이 없어 소통이 미숙한 점이 있었다. 당시 매우 부적절한 표현이 들어갔고 (이 사과문으로) 당사자 분들이나 많은 분들에게 상처를 주고 분노를 샀다”며 “이 부분에 대해 꼭 사과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단 박 대표는 “진정성 있는 사과를 다시 해야한다고 생각했지만 곧바로 고용노동부의 근로감독이 개시되면서 그 과정에서 (즉시) 사과를 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며 “시기가 늦어지게 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덧붙였다.
또한 박 대표는 “등 돌린 소비자들의 신뢰 회복을 위해 첫 번째로 생각하는 것은 입사를 하게 된 10명(논란이 된 지역영업직 11명 중 입사를 결정한 10명)과 지금 위메프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직원들이 만족하는 것”이라며 “그 분들이 ‘위메프는 좋은 회사다’라고 말해주시는 것이 신뢰회복의 유일한 첫 걸음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박 대표는 이날의 기자회견이 매출회복을 위한 ‘쇼’로 비쳐지지 않겠냐는 우려와 관련해 “이 기자회견이 오히려 매출에 더 좋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진심을 다해 사과하고 있지만 (외부에서) 어떻게 바라볼지는 알 수 없는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위메프를 아껴주신 많은 분들에게 사회적 물의를 빚고 심려를 끼쳐드려 정말 죄송하다”고 거듭 사과하며 “앞으로 채용과정에 대한 개선과 더불어 고객, 직원, 대한민국 사회가 기대하는 것에 더욱 귀 기울여 건강한 위메프 기업문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지난 3일 위메프 측에 '갑질 논란'이 불거진 지역영업직 3차 실무 테스트 기간 중 발생한 연장 및 야간 근로수당에 대해 지급할 것을 요구했다. 또 3차 실무 테스트 기간이 있음에도 채용공고문 상에 근무형태를 ‘정규직’으로만 명시해 구직자에 혼란을 불러일으킨 데 대한 재발방지 계획을 제출할 것을 지시했다.
고용부는 이와 함께 기간제 근로자와 근로계약 체결 시 휴일, 취업장소, 종사 업무를 명시하지 않은데 따른 과태료 840만원도 부과했다.
위메프는 지난 4일 해당자에게 초과 근무 수당을 지급했으며 과태료 납부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또 지난달 19일과 지난 2일 ‘3차 실무 테스트 합격자’ 11명 중 10명이 위메프에 입사를 완료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