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릉 재실 복원' /사진=문화재청
'정릉 재실 복원'
서울 정릉 재실 공개 소식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지난 23일 문화재청 조선왕릉관리소(소장 김정남)는 1960년대 소실됐던 서울 정릉의 재실(제사를 준비하는 곳)을 3년에 걸쳐 복원 완료하고 25일 오전 10시 기념행사를 통해 국민들에게 공개한다고 발표했다.
정릉 재실은 비운의 왕비 중 한 사람이었던 조선왕조 1대 임금 태조 이성계의 계비 신덕왕후 강 씨의 무덤으로 원래의 자리는 당시 도성 안이었던 중구 정동이었으며 규모도 현재보다 크고 화려했다.
하지만 태조의 정비(正妃)였던 신의왕후 한씨의 아들인 이방원이 태종으로 즉위(1400년)하고 태조가 승하(1408년)하면서 1409년 현재 자리로 이장됐고 그 규모도 대폭 축소됐다.
이후 1669년 현종 때에 이르러 우암 송시열이 상소를 올리면서 신덕왕후는 복위돼 종묘에 신주가 들었고 황폐하게 버려졌던 정릉이 복구됐다.
또 1899년 신덕고황후로 추존돼 이듬해 재실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1960년 초석만 남긴 채 멸실됐다.
한편, 문화재청은 2012년부터 3년간 정릉 재실의 본채, 제기고, 행랑, 협문(3개소)과 담장 등을 관계 전문가 자문, 문화재위원회 검토 등을 거쳐 총 사업비 15억원을 투입해 복원했다.
문화재청은 "조선 왕릉이자 세계유산으로서 정릉의 진정성을 회복하고 역사성과 정체성을 확고히 할 것"이라며 "국민들과 함께할 수 있는 공간 창출로 그 본연의 가치를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