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위안부' '아베 미국의회 연설' '아베 연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의회 연설과 관련해 새정치민주엽합은 "예상대로 식민지배와 침략전쟁, 위안부문제에 대한 분명한 사과의 표현을 찾을 수 없었다"고 비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30일 오후 1시30분쯤 국회 정론관에서 현안 브리핑을 통해 "아시아 여러 민족에게 고통을 준 사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 것이, 아베 총리가 미 의회에서 한 과거사에 대한 언급의 전부"라며 이 같이 밝혔다.
김 수석대변인은 "거꾸로 아베 총리는 일본이 한국, 중국이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후안무치한 발언으로 자신들의 과거사를 미화하려 들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아베 총리는 일본군 위안부를 인신매매의 희생자로 둔갑시켜 일본 정부와 군의 개입을 부인하는 뻔뻔한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민을 비롯한 아시아의 모든 국민은 물론이고 세계인 모두가 아베 총리의 연설에 분노와 개탄을 금치 못했을 것"이라며 "아베 총리의 연설은 한일 관계는 물론 아시아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라고 경고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일본의 이러한 파렴치한 자세는 국제사회에서 용인 받지 못할 것"이라며 "결국은 부메랑이 돼 일본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아베 총리의 연설을 무력하게 지켜보고 있는 박근혜정부의 한심한 외교력에 대해서 깊은 실망과 유감을 전한다"며 "정부는 미일동맹 강화에 따라 향후 일본의 역사왜곡 행위가 더욱 빈번해질 것에 대비해 모든 외교적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아베 총리는 29일(현지 시간)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을 했다.
그는 이날 합동연설에서 전날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와 같이 일본군 위안부와 과거 침략 역사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고 사죄의 입장도 밝히지 않았다.
단 그는 1995년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 담화'를 계승한다며 "전쟁에 대해 깊은 반성(deep remorse)을 느낀다. 우리의 행동이 아시아국가 국민들에게 고통을 안겼다. 이로부터 눈을 돌려선 안 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연설 후반에 제2차 세계대전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군사적 충돌로 항상 여성들이 가장 큰 고통을 당했다"며 "현 시대에 우리는 여성들이 결국 인권침해에서 자유로워진 세계를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