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지지율' '김무성 지지율' '박원순 지지율' '홍준표 지지율' '정청래·주승용' /자료=리얼미터

'문재인 지지율' '김무성 지지율' '박원순 지지율' '홍준표 지지율' '정청래·주승용'

차기 대선 주자 지지도에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11일 리얼미터의 5월 1주차 주간집계에 따르면, 김무성 대표의 지지율은 지난 주에 비해 3.4%포인트 상승한 22.6%를 기록하며, 17주 연속 1위 문 대표에 0.1%포인트 앞서며 1위 자리를 꿰찼다.

이로써 김 대표는 지난해 10월 1주차 18.5%의 지지율로 1위를 기록한 이래 약 7개월 만에 다시 선두로 나섰다.


김 대표의 일간 지지율은 4일 22.8%로 출발, 6일 공무원연금 개혁 타협 성공이후 본회의 통과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 24.2%까지 상승하면서, 자신의 최고 일간 지지율을 경신했다.

이후 공무원연금법 개정안 처리가 최종 무산되면서 7일에는 22.8%로 하락했고, 당청간 갈등 양상이 보도된 8일에는 21.0%로 추가 하락, 최종 주간집계를 22.6%로 마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재보선 참패 후 당내 리더십 위기와 거취 압박까지 받으면서 2.3%포인트 하락한 22.5%로 3주 연속 하락해 17주만에 오차범위 내에서 김 대표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김무성 대표와 문재인 대표의 격차는 지난주 5.6%포인트에서 0.1%포인트로 집계됐다.


문재인 대표의 일간 지지율은, 4일 24.4%로 시작해, 책임론에 대한 정면돌파 의지로 당내 갈등을 수습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6일에 24.9%로 올랐으나, 공무원연금법 개정안 처리 무산 이후 7일에 20.9%로 하락했고, 8일에는 정청래·주승용 최고위원의 갈등 여파로 20.2%로 추가 하락, 최종 주간집계를 22.5%로 마감됐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0.3%로 3위를 유지했다. 안철수 전 대표는 7.8%로 4위를 이어갔고, 김문수 전 지사는 4.5%로 5위를 유지했다.

‘성완종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정치권 인사 가운데 처음으로 검찰 조사를 받은 홍준표 지사는 0.8%포인트 하락한 4.6%로 6위를 유지했다.

이어 정몽준 전 대표가 3.5%로 7위, 안희정 지사가 3.0%로 8위, 남경필 지사가 2.5%로 9위, 이완구 전 총리가 1.9%로 10위, 원희룡 지사가 1.3%로 11위를 기록했다.

이번 주간집계는4일부터 8일까지(5일 제외) 4일간 전국 2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무선전화(50%)와 유선전화(50%) 병행 RDD 방법으로 조사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포인트다. 응답률은 전화면접 방식 16.5%, 자동응답 방식 5.7%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