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매립지’

수도권지역이 내년 말 사용 종료키로 한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사용을 연장하는 데 합의하면서 쓰레기 대란은 상당기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3개 시도는 각 지역에 대체 매립지를 조성하는 것을 전제로 오는 2016년 말 사용 종료하기로 한 수도권쓰레기매립지의 사용을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고 28일 밝혔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과 박원순 서울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 '매립지 4자협의체' 기관장은 이날 오전 제8차 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합의했다.

4자협의체는 인천시 서구에 있는 현 매립지의 잔여 면적 가운데 3-1공구를 추가 사용키로 합의했다. 3-1공구는 103만㎡ 규모로 현 매립방식대로라면 6년, 직매립 제로 방식의 경우 7년 동안 쓰레기를 묻을 수 있다.

현재 사용중인 2매립장은 오는 2018년 1월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후 3-1매립장을 7년 동안 사용하면 오는 2025년까지 약 10년 간 현 매립지를 더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매립지 사용 종료 시점을 합의문에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매립 방식대로라면 앞으로 10여 년 동안 수도권 매립지를 더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사용 연장으로 매립지가 위치한 인천시는 각종 지원 혜택을 받는다.

수도권 매립지로 들어오는 전체 폐기물 반입수수료의 50%와 매립지로 인해 발생되는 기타 수익금을 인천시 특별회계로 전입키로 했으며 인천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도시철도 7호선 연장 및 조기착공, 테마파크 조성사업, 환경산업 실증연구단지와 연계한 검단산업단지 환경산업 활성화, 체육시설 이용 프로그램 개발 및 접근성 강화를 위한 교통 확충 등에 협력키로 했다.
'수도권 매립지' 지난 1월 13일 수도권매립지 연장 반대 범시민사회단체협의회가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정복 시장은 2016년도 쓰레기 매립지 종료를 선언해야 한다"며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