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최저임금'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2016년 최저임금'
소상공인연합회는 내년(2016년)도 최저임금 시급이 6030원으로 결정된 것과 관련해 "소상공인이 처한 심각한 상황이 고려되지 않은 수준이라고 판단돼 상실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9일 오후 '2016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소상공인 피해 호소문'을 통해 "이번 최저임금 결정안은 지난 2008년(8.3%) 이후 8년 만에 최고치의 인상률이다. (인상안이) 절박한 생존의 기로에 놓인 소상공인의 현실을 충분히 반영했다고 보기에는 상당히 미흡한 수준"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일자리가 없어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창업해 사업 중인 자영업자 수가 선진국에 비해 3배 가까이 많다"며 "근로자보다 적은 최저 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수입을 올리는 영세소상공인 비중이 어느 나라보다 높은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소상공인들의 최저 임금 동결 주장에 대해 일부에서는 집단 이기주의라고 말하지만,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창업한 영세 소상공인들에게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소상공인들에게 최저임금도 못주면서 왜 운영을 하냐고 몰아세운다면 소상공인들은 사회 취약계층으로 떨어지는 방법밖에는 더 이상 갈 곳이 없다"며 "이런 상황이 개선될 때까지는 기업과 소상공인이 업종별로 최저임금을 차등 적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전국 소상공인을 향해서도 "이번 최저임금 결정에서 노동계의 단합된 목소리가 정책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느꼈을 것"이라며 "우리 소상공인들에게 놓인 산적한 난제들을 해결하고 소상공인이 지역경제를 살려 국가 경제를 견인할 수 있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힘을 모아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