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수근관증후군 진단을 받은 국내 환자가 2009년 12만4000여 명에서 2013년 약17만5000여 명으로 늘어났다. 이는 5년간 약 5만 명의 숫자가 늘어났고, 40% 이상이 증가한 수치인데, 평생 이 질환에 걸릴 확률은 50%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수근관증후군은 손과 손가락 감각을 담당하는 주요 신경이 손목의 좁은 부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박을 받아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 질환이다. 반복되는 손목 사용으로 수근관(손목 터널) 안의 압력이 높아져 신경을 누르며 발생하기 때문에 ‘손목터널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아직까지 수근관증후군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과도한 손목 사용, 손목에 무리가 가는 자세를 오랫동안 할 경우 발병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KT경제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20대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3시간 44분으로 집계됐다. 이는 잠자는 시간(약 7시간)을 제외하고 하루 5분의 1을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보낸다는 것인데, 오랜 시간 스마트폰을 잡고 있으면 손가락과 손목에 무리가 가고 힘줄이 부어올라 상대적으로 수근관이 좁아져 질환 발생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김원장은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손목 휴식 및 부목 사용, 경구 약물치료, 주사 요법으로 상태가 충분히 호전될 수 있다”며 “하지만 통증이 미약하다고 치료를 방치하면 손목 인대를 잘라주는 수술까지 고려해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병 초기에 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도움말, 이미지제공=동탄시티병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