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오른쪽)이 황병서 북한 군총정치국장과 회담 타결 이후 악수하고 있다. /사진=뉴스1
'황병서 발표' '북한 합의문'

황병서 군총정치국장이 25일 남북 고위급회담 타결 이후 조선중앙TV에 직접 출연해 회담 내용과 달리 지뢰 도발에 대해 남측이 근거없는 사건을 만들었다고 주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황 총정치국장의 이같은 발언은 북한 내부 정세를 의식한 것으로 우리 측은 풀이하고 있다.
황 총정치국장은 "공동의 노력으로 북남관계 개선의 새로운 분위기가 마련된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남측 당국이 이번 북남 고위급 긴급 접촉에서 이룩된 합의정신을 진지한 자세로 대하고 그 이행에 적극 나섬으로써 북남관계 발전에 실질적으로 이바지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황 총정치국장은 회담 타결 이후 우리측에서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이 공동보도문을 낭독한 것과 마찬가지로 6개항의 공동보도문을 낭독했다. 내용은 우리 측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황 총정치국장은 "남조선 당국은 근거없는 사건을 만들어가지고 일방적으로 벌어지는 사태들을 일방적으로 판단하고 일방적인 행동으로 상대 측을 자극하는 행동을 벌이는 경우 정세만 긴장시키고 있어서는 안될 군사적 충동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는 심각한 교훈을 찾게 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뢰도발을 부인한 것으로 '유감' 표명이 정부가 주장하는 '사죄'는 아니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 내부 선전용으로 큰 의미를 두지 않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사과를 명시하며 도발을 인정할 수 없는 북한 내 분위기 속에서 유감이라는 절충형 표현을 쓸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