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후각기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모기 후각기관'
모기가 사람이나 동물의 혈관을 찾아내 흡혈을 하는 원리가 밝혀졌다.
서울대학교는 안용준·권형욱 교수연구팀이 모기가 사람이나 동물의 혈액 냄새를 감지해 흡혈을 하는 후각행동 메커니즘을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모기는 이산화탄소나 옥테놀(octenol)에 이끌려 흡혈 대상을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모기의 침(stylet) 구조의 맨 앞쪽에 후각감각구조를 가진 감각모를 발견, 그 속에 두 가지의 후각수용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
연구팀은 모기의 이 후각 수용체가 동물의 혈관을 찾아내 신속한 흡혈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모기는 동물 피부에 앉자마자 흡혈을 시작하고 30초면 피를 완전히 빨아서 날아가는 것으로 관찰됐다. 하지만 모기의 후각 수용체의 발현을 막으면 모기는 동물의 혈관을 잘 찾지 못했고, 흡혈 시간은 3분에서 15분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모기의 흡혈에 관련된 후각행동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가 마련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인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