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교과서' '신형식 최몽룡'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 '신형식 이화여대 명예교수'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이 4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역사교과서 개발 방향과 집필진 구성, 편찬기준 개발 및 교과서 개발 일정을 밝혔다. 이 자리에는 대표집필진으로 초빙된 신형식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함께 나섰다.

신 명예교수는 이날 기자회견 자리에서 "기존 교과서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것 같다"며 "명확하고 정확하게 사실에 입각한 내용을 기술해 국사가 국민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집필 참여 이유를 밝혔다.


신 명예교수는 고대사 전문가로 2003년부터 2010년 10월까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그는 1981년 단국대 대학원에서 한국고대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신 교수는 한국외대와 성신여대, 이화여대, 상명대 등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신한국통사' '한국사 입문' '한국사를 왜곡한 동북공정' 등의 저서를 집필했다.

신 명예교수 외에 선사시대는 최몽룡 명예교수가 맡기로 했다. 최 교수는 국내 고고학계를 대표하는 원로학자로 1988년(5차 교육과정)부터 2011년(7차 교육과정)까지 23년여 동안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편찬에 관여해왔다. 최 교수는 1987년 한국상고사학회를 창설하고 회장을 지냈다.

최 교수는 제자들의 만류로 기자회견장에 나오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교수는 "동북아 역사 왜곡을 바로잡기 위해 집필에 참여했다"며 "정부 입맛대로 교과서를 쓰지는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원로교수를 제외하고 아직까지 뚜렷한 집필진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가장 민감한 근·현대사 집필진은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다.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은 '학계에 명망이 높은 원로'를 초빙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신형식 최몽룡'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역사교과서 집필 기준과 집필진 구성안 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신형식 이화여대 명예교수. /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