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의화'
경제활성화법안 등 핵심법안 처리를 놓고 정의화 국회의장에게 청와대의 압박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의화 의장은 "내 성을 바꾸지 않는 한 직권상정은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정의화 의장이 직권상정은 없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혔지만 청와대는 "비정상적인 국회 상태를 정상화시킬 책무가 (정의화 의장에게)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며 연일 압박을 가하고 있다.
특히 현기환 정무수석은 지난 15일 오전 여의도 국회로 정 국회의장을 직접 찾아가 노동개혁 관련 5개 법안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서비스법), 기업활력제고법(원샷법), 테러방지법 제정안 등 핵심법안들의 직권상정을 요청하기도 했다.
현 수석은 "어차피 양당 합의가 (직권상정의) 유일한 근거 아니냐"며 "입법부 수장인 국회의장이 여러가지 중재 노력 등을 통해 근거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말씀드렸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 의장은 "압박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며 "대통령과 자꾸 각을 세우지 말라"면서도 "내 이(직권상정 불가) 생각은 국회법이 바뀌지 않는 한은 변할 수가 없다. 내가 내 성을, 정의화를 바꾸든지 다른 성으로"라고 말했다.
정 의장은 여당 일각의 해임건의안 제출 주장과 새누리당 의원 156명 이름으로 제출된 직권상정 촉구 결의문에 대해서는 "국회의장 해임이 그렇게 쉽게 되겠냐"며 "결의문에 이름을 올린 156명이 다 도장을 찍었는지 일일이 한 번 체크를 해볼까"라는 뼈 있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쟁점법안 연내 처리 의지가 강한 만큼 정 의장을 향한 압박 수위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