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견이 자견에게 수유하는 과정을 보자. 자견은 1달도 안 돼 젖니가 나기 시작한다. 따라서 젖을 먹다가 종종 실수로 어미젖을 물곤 한다. 그때 어미는 어떻게 행동할까? 이 과정을 잘 살펴보면 반려동물이 잘못했을 때 어떻게 교육해야 할지 알 수 있다. 

모견은 화를 내지 않고 그냥 잠시 자리에서 일어나 젖을 물고 있던 자견들을 모두 떼어놓는다. 이후 몇 초 정도 자리를 뜬 후 다시 돌아와 젖을 물린다.


하나 더 살펴보자. 자견들은 하루종일 자거나 어미젖을 문다. 하지만 점차 커가며 서로 어울려 놀기 시작한다. 하지만 가끔 힘센 녀석이 힘이 약한 녀석에게 심하게 장난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약한 녀석은 어떻게 행동할까? 큰소리로 깨갱하며 아프다고 멀리 도망가 버린다. 결국 혼자 남은 힘센 녀석은 멍하게 이를 바라본다. 재미있는 사실은 수유 중 어미젖을 무는 행동이나 놀이 중 형제를 무는 행동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유는 여기에 동물행동학의 기본원리에 근거한 놀라운 교육방법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수유나 놀이는 자견들에게 있어 가장 행복하고 즐거운 일이다. 하지만 젖을 문다든지 함께 놀던 자견을 무는 등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했을 때 그 결과 수유나 놀이가 중단된다. 
즐거운 일이 사라져 버린 것이다. 이런 일이 반복되면 자견은 즐거운 일이 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무는 행동을 스스로 자제하게 되고 어느 순간 그런 행동은 사라지게 된다. 다시 말해 잘못된 행동의 결과로 좋은 일이 없어지는 일이 반복되면 결국 잘못 행동하는 빈도가 줄어든다는 얘기다.

이 원리로 반려동물의 잘못된 행동을 예방·교정해야한다. 예를 들어 자견은 장난삼아 사람을 물 때가 있다. 


가장 우선해야할 것은 손으로 놀아주는 등 무는 상황을 만지 않는 것이다. 이후에도 자견이 무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머리를 때리는 등 혼내는 방식이 아니라 큰 소리로 아프다고 표현한 후 몇 초간 그 자리를 뜨면 된다. 아예 공간을 달리해 방을 나갔다가 돌아오면 더욱 효과가 있다.

무는 행위가 발생할 때마다 온 가족이 이런 식으로 교육을 반복하면 자견의 무는 행동은 자연스럽게 줄어든다. 물론 쉽게 혼내는 방법보다 

훨씬 번거로울 수 있다. 하지만 때론 쉬운 길이 가장 나쁜 길이 되기도 한다. 쉽게 행한 벌칙이 결국 어느 순간 문제동물을 만든다는 점을 절대 잊으면 안 된다.

동물의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서는 즉각적 보상,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대해서는 즐거움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반려동물을 지속적으로 교육하면 사람과의 생활에서 배워야할 각종 규칙이나 예절 등을 큰 부작용 없이 습득해나갈 수 있다. 

무엇보다 그 과정이 매우 행복하고 즐거울 수 있다. 모든 교육은 어릴 때부터 시작해야 효과가 크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한다.


도움말=애견샵 창업 프랜차이즈 러브펫멀티펫샵
러브펫동물병원 타임스퀘어점 · 중계점 최인영 대표수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