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프라임사업. /자료사진=머니투데이 DB
'교육부 프라임사업'
대학생들이 교육부 프라임사업에 대해 대학을 취업기관으로 만드는 졸속 정책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지난 6일 서울대학교 등 9개 대학 총학생회와 21세기 한국대학생연합은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프라임·코어 산업이 "대학을 취업 몰입식 기관으로 만드는 졸속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프라임(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 대학) 사업과 코어(대학 인문역량 강화) 사업은 정부의 사회 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정책 일환으로 지난해 1월 시작, 12월 말 기본계획이 확정됐다. 선정대학들에는 매년 2000억원, 3년간 6000억원을 재정지원한다.

총학생회 등은 이 사업이 "기초학문 정원감축 등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며 "학문의 균형적 발전은 커녕 대학교육의 왜곡을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프라임 사업에 선정되기 위해선 핵심 평가지표인 전공 정원 조정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며 "문제는 그 기준이 기초학문을 축소하고 공대 위주로 학과를 재편할 것을 암시하는 고용노동부의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에 기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학 교육에 대한 예산 투자를 통해 학문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해야 할 정부가 돈줄을 쥐고 대학을 '취업 몰입식' 기관으로 길들이고 있다"고 꼬집었다.


한편 이들은 정부의 대학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대통령 면담요구서를 청와대에 접수하는 한편 오는 20일 대학교육 지키기 성토대회를 열어 항의 행동을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