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냉장고에 IOT 접목… 요리레시피 제공
먼저 IoT에 주력한 삼성전자에 주목된다. 삼성전자가 대표적으로 공개한 IoT 접목 제품은 냉장고다.
삼성전자 '셰프컬렉션 패밀리 허브' 냉장고. /사진=삼성전자
‘패밀리 허브’라는 이름을 가진 이 제품은 도어에 위치한 21.5인치 풀HD 터치스크린으로 각 저장실별 기능을 설정하고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셰프컬렉션 앱’을 통해 다양한 요리 레시피를 알 수 있다.
식품 보관과 관리를 위한 기능도 돋보인다. 냉장실 내부에 장착된 3대의 카메라로 보관 중인 식품을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으며, ‘디데이(D-day) 아이콘’으로 보관 중인 식품별 적정 섭취기한을 설정할 수 있어 불필요한 식품의 구매나 낭비에 대한 걱정을 덜어준다.
또 이마트와 네이버 등 국내 유통·온라인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실시간 쇼핑 정보를 받아 간편하게 온라인 쇼핑을 할 수 있고 각종 생활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와 컨텐츠를 제공한다.
가족들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일정, 사진, 메모를 ‘패밀리 허브’ 냉장고를 통해 쉽게 공유할 수 있으며 도어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라디오 청취나 음악 감상 등도 가능하다. 더불어 ‘스마트싱스(SmartThings)’의 허브가 동글로 지원돼 ‘패밀리 허브’ 냉장고에서 조명, IP 카메라 등 다양한 IoT 제품의 제어까지도 가능하다.
◆코웨이, 정수기·공기청정기·비데·매트리스 연동
코웨이는 이번 전시회에서 ‘사물인터넷 기반 IoCare(아이오케어) 통합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는 가정 내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매트리스를 IoT를 통해 서로 연동시킨 것이다.
/사진=코웨이
정수기와 사물인터넷을 연계한 ‘스마트 워터 케어 서비스’는 공기청정기, 비데, 매트리스를 통해 수집한 신체 및 사용자의 생활습관, 환경 데이터 등을 수집한 후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몸 상태에 맞는 물 음용량 권장량을 보여준다.
공기청정기의 경우 ‘스마트 에어 케어 서비스’를 통해 집 실내외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이는 스마트폰으로 확인 가능하다. 축적된 공기질 데이터를 진단하고 분석해 우리 집 공기질 유형에 따른 맞춤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매트리스에 IoT가 적용된 ‘스마트 슬립 케어 서비스’도 최초 공개됐다. 이 서비스는 수면 시간 동안 매트리스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심박수, 호흡수, 수면 중 움직임 등의 데이터를 측정하고 분석한 결과를 스마트 폰으로 보여준다.
스마트 바디 케어 서비스는 온 가족의 올바른 건강 습관을 케어 해주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비데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배변 주기, 체지방, 체수분을 측정하고, 축적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클리닉 좌욕 기능 및 건강 식단 제안 등의 나만을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귀뚜라미, 생활패턴 분석해 온도 제어하는 보일러 솔루션 선보여
귀뚜라미는 핸디소프트와 공동으로 ‘귀뚜라미 IoT 보일러 솔루션’을 선보였다.
IoT 보일러 솔루션은 보일러 원격제어뿐만 아니라 보일러가 스스로 학습하고 맞춤형 온도를 제공하는 ‘스마트 학습기능’이 적용됐다.
/사진=귀뚜라미
보일러가 스스로 사용자의 온도 설정, 각종 기능 설정, 실외 온도 등을 시간대별로 수집해 사용자 생활 패턴을 분석하고 각 가정에 최적화된 보일러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모든 데이터는 클라우드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활용해 보일러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욱 정확하게 분석된다. 또 한 대의 스마트폰으로 여러 대의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다중제어’ 기술도 탑재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