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가 신당 창당을 통한 정치 체제 변화에 모든 것을 걸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안철수 대표는 2일 오후 대전 한밭체육관에서 열린 국민의당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상임공동대표직 추대를 수락하면서 "저는 국민의당에, 이번 선거에, 저의 모든 것을 걸겠다. 우리가 새로운 길을 열지 못하면 대한민국에 더 이상 미래는 없다는 각오로 뛰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의당 초대대표는 안철수 의원과 천정배 의원이 공동으로 맡기로 1일 결정됐다. 상임 공동대표는 천 의원의 권유로 안 의원이 맡는다. 형식적으로 보면 서열 1위는 안 의원이 되는 셈이다.
선거대책위원회는 김한길 의원이 상임 공동위원장을, 안 의원과 천 의원이 공동 위원장을 맡게 된다.
국민의당은 창당 하루 전인 1일 오후에야 지도부를 구성한 것에 대해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 체제냐, '안철수 단독대표' 체제냐를 놓고 세력별 기싸움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여곡절 끝에 공동대표 체제를 내세웠지만, 김한길 의원이 공동 선대위원장으로 참여하게 됨으로써 '3인 공동 선대위원장' 구조가 돼버렸다. 총선에서 '호남 물갈이' 공천과 세력별 '지분'을 놓고 극심한 진통이 예상된다는 지적이 당 안팎에서 제기된다.
이를 두고 진중권 동양대학교 교수는 자신의 트위터에 "단독으로 당대표와 선대위장을 겸하려 했으나 뜻대로 안 되는 모양입니다"라며 "당의 실무진은 먼저 탈당해 자리 깐 안철수계가 장악하고 있지만, 국민의당이 거의 전적으로 지역주의에 의존하다 보니, 호남 정치인에게 한 자리 내줄 수밖에 없었겠지요"라고 지적했다.
진교수는 또 국민의당 지도부에 대해 "안철수는 국민의당의 얼굴마담, 천정배는 호남정치의 상징, 김한길은 탈당한 의원들을 지휘하는 실질적 지도자"라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의당이 굴러가려면 이중 어느 하나도 빠져서는 안 됩니다. 이걸 봉합하다 보니 3인공동 체제라는 이상한 그림이 만들어진 거죠"라고 비판했다.
2일 오후 대전 중구 한밭체육관에서 열린 국민의당 중앙당 창당대회에서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주선, 주승용 최고위원, 천정배 공동대표, 한상진 공동 창당준비위원장, 김한길 선거대책위원장, 안철수 공동대표 /사진=뉴스1 박지혜 기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