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6월 영남권 신공항 입지를 결정하기 위해 세계 12개 국내외 공항에 대한 다양한 입지평가 사례를 검토한 후 이를 적용해 잠재적 후보지를 선정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12일 오후 2시 코레일 서울지역본부 회의실에서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그동안의 연구결과와 앞으로의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국토부는 영남권에 신공항 건설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연구용역을 수행 중인 파리공항공단 엔지니어링 컨소시엄(파리공항공단 엔지니어링·교통안전공단)은 가덕도와 밀양을 포함한 몇곳을 신공항 후보지로 압축했다. 제주 제2공항 입지 선정 때와 마찬가지로 공역·기상·환경·소음·장애물 등 다양한 요소를 평가 중이다.
이날 컨소시엄은 이들 지역에 대한 지역별 인구 분포와 도로·철도 교통망 등 현황, 기존 공항시설 및 항송수요 등 일반현황 조사결과를 내놓았다.
특히 이 과정에서 노트르담, 파리 3공항, 베를린 브란데부르크, 홍콩, 남국제공항, 수도권신공항, 런던공항확장, 시드니 서국제공항, 댈러스 포트워스, 간사이, 키타규슈, 리스본 등 12개 국내외 다양한 공항평가 사례를 검토했다.
컨소시엄 관계자는 "다양한 공항 입지평가 사례를 검토한 결과 평가항목과 평가과정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며 "국가별로 중요시하는 가치 등에 따라 일부 평가항목 및 가중치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컨소시엄은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통과 혹은 탈락'(PASS or FAIL)으로 후보지를 압축하고 후보군 내 평가 등을 통해 최종 후보지를 선정하기로 했다.
국내 기술전무회사의 지원을 받아 세부적인 현장조사 등을 시행하고 중립성을 지키기 위해 입지평가 관련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미국 연방항공청(FAA),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등의 국제기구에 자문을 구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입지평가 때 기상·관제·장애물·시장성·확장성·접근성·소음·지역경제효과·환경성을 비롯해 사업추진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이라며 "이달 안에 국제기구 OECD의 자문을 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구·경북·경남·울산 등 4개 지역은 경남 밀양에 신공항을, 부산은 가덕도에 24시간 운영 가능한 허브공항 건설을 주장하며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지난해 영남권 5개 시·도의 시장·도지사 (왼쪽부터 김기현 울산시장. 서병수 부산시장. 권영진 대구시장. 홍준표 경남도지사.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영남권 신공항 걸정과 관련해 신공항 건설 용역 타당성 조사에 합의했다. /사진=뉴스1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