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 리수용 북한 외무상은 "유엔 인권이사회가 정치화하고 이중 잣대를 적용하고 있다"며 불참 배경을 설명했다.
리 외무상은 이날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연설에서 "(북한의) 막강한 핵 억제력과 군사력으로,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미국 등이) 인권 소동을 벌이고 있다"며 "북한을 적대시하며 불순한 정치목적에 인권문제를 도용하려는 나라나 개인에 강경 대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리 외무상은 "북한에는 미국처럼 총기류를 제마음대로 휘둘러 한해에 1만3000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유럽처럼 수천 수만의 난민이 바다에 빠져죽게 하고 대형 화물차 밀폐된 짐칸에서 질식해 죽게 하는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며 "일본처럼 2차대전 당시 수백만의 무고한 사람을 학살한 인권유린 행위도 없다"고 주장했다.
리 외무상은 그러면서 "그들이 북한을 공격하는 유일한 증거는 탈북자의 진술뿐"이라며 "한 사람당 5000달러 또는 그 이상을 들여 납치해 끌고간 것이 탈북자"라고 말했다.
한편, 리 외무상은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 움직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리 외무상은 지난해 참석했던 제네바 군축회의에도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리수용 북한 외무상. /사진=뉴스1(유엔 홈페이지)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