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아이폰 이용자의 휴대폰 보험료와 자기부담금이 늘어날 전망이다. 아이폰은 수리비가 국산폰 대비 3배 가량 비싼데도 그동안 국산폰과 동일한 보험료를 적용해 형평성 논란이 계속됐다.28일 금융감독원은 ‘국민체감 20대 금융관행 개혁’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금감원은 생활밀착형 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을 개선하는 취지에서 휴대폰 보험료의 현실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아이폰 평균 수리비는 30만~35만원으로 10만원 가량 청구되는 국산폰 수리비보다 3배 가량 높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아이폰 이용자와 갤럭시(삼성) 등 국산폰 이용자 모두 동일한 보험료를 내어왔다.
때문에 모든 휴대폰 이용자가 동일한 보험료를 낸다는 건 사실상 국산폰 이용자가 아이폰 이용자의 수리비를 지원해 주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지속됐다.
금감원에 따르면 수리비가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애플이 휴대폰 파손 시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하지 않고 리퍼폰(재생폰)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액정이 파손되면 국산폰은 수리비가 10만원 내외지만 아이폰은 아예 ‘리퍼폰’으로 교체해야 하는 탓에 40만원 이상 소요된다.
이런 문제로 인해 지난해말 한 대형 손해보험사의 스마트폰 손해율은 아이폰이 130%로 갤럭시 등 비아이폰(64%) 대비 2배 이상으로 치솟았다. 손해율을 받은 보험료 대비 나간 보험금으로 100%가 넘어서면 보험사 수익성은 악화된다.
이런 문제로 보험사들은 지난해 아이폰 수리비의 자기부담금을 30% 수준으로 올렸다. 또 KT는 지난 2월부터는 리퍼폰 보상금액을 종전 40만원에서 25만원으로 낮췄다. 15만원은 소비자가 책임져야 한다. 다만 이런 대안도 손해율을 개선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게 보험사 설명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보험료 결정권이 통신사에 있다 보니 자유롭게 보험료를 차등화할 수 없었다”고 토로했다.
서태종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은 “회사별로 휴대폰 보상정책이 달라 수리비가 많게는 2~3배 차이가 나는데도 동일한 보험료가 적용되고 있다”며 “실생활과 밀접함 보험의 불합리한 상품구조를 개선해 소비가 권익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