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비시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87척의 군함을 만든 전범기업이다. 나가사키엔 1944년 당시 조선인 노무자와 가족이 2만명 가량 있었고 미쓰비시조선소에만 4700여명이 강제로 노역했다. 원폭 투하로 나가사키에서 사망한 7만4000여명 중 조선인 사망자는 1만명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국내 시민단체들이 일본 미쓰비시 제품 불매운동에 나서기도 했다. 미쓰비시가 외국인 강제징용과 관련해 미국·중국 등에는 사과와 보상을 약속했지만 한국인 징용자에 대해서는 불가 입장을 보인 데 따른 것이다.
'근로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은 지난해 7월 "한국만 배제한 강제징용 사과에 항의하기 위해 미쓰비시가 생산하고 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불매운동을 벌인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시민모임은 "미쓰비시는 조선인 10만명을 끌고가 고혈을 짜낸 일본 전범기업 중 제1의 전범기업이다"라며 "미쓰비시 탄광이 있던 군함도(하시마)는 '송장이 되지 않고는 돌아올 수 없다'고 해서 '지옥섬'으로 불렸으며 이곳에서 120여명이 숨졌다"고 말했다.
시민모임은 또 "정부가 강제징용에 대해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며 "중국은 일본과의 소송에서 졌지만 중국 내에서의 압박전술을 통해 협상에 임했고 합의안까지 끌어낸 만큼 정부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해 7월 광주 서구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근로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과 피해자 할머니들이 미쓰비시 제품 불매운동 기자회견을 가졌다. /자료사진=뉴시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