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원영주 중앙암등록사업부장 연구팀은 1999~2013년 암 발생 기록과 1993~2014년 통계청의 암 사망률 통계 자료를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올해 국내에서 25만4962명의 신규 암 환자가 발생하고, 사망자 수는 7만5172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예측치 28만556명에 비해 2만5594명, 사망자 수 7만6698명보다 1526명 적다.
연구팀은 올해 새로 발생하는 남성 암을 대장, 위, 폐, 간, 갑상선 순으로 예측했다. 특히 대장암은 위암을 제치고 올해 환자 수 1위에 오를 것으로 봤다. 서구식 식습관이 자리잡은 영향으로 보인다.
남성 대장암 환자수 예측치는 2만3406명으로 수십년 동안 1위를 기록했던 위암에 비해 51명 더 많다. 여성은 이미 대장암이 위암보다 환자 수가 많다.
올해 여성 암 부위는 갑상선, 유방, 대장, 위, 폐 순으로 예상됐다. 이 중 28%가 갑상선암이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갑상선암 과잉 진단 여부를 놓고 논란이 있어 올해는 신규 여성 갑상선암 환자 수가 지난해보다 2만명 정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예상되는 전체 암 사망자 수는 폐암이 1만750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간암 1만639명, 대장암 8715명, 위암 7054명, 췌장암 5487명 순이었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