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장애는 20대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건강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해 턱관절장애로 진료 받은 환자가 5년새 10만명이나 늘고 환자 가운데 여성이 남성보다 1.5배나 많았다는 내용을 24일 발표했다.

주 진단명으로 '턱관절장애'를 진단받고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0년 25만명에서 2015년 35만명으로 40.5% 증가했고 여성이 남성보다 1.5배 더 많았다.


2015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20대(9만 4천명, 26.9%)가 가장 많았고, 10대(6만명, 17.1%), 30대(5만6천명, 16.1%) 순이었으며, 젊은 여성이 가장 많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 여성은 5만5000명으로 같은 연령대 남성 3만8000명의 1.4배나 많았다. 30대와 40대를 비롯 9세이하를 빼고 모든 연령대에서 여성이 진료를 많이 받았다.

의료계는 턱관절장애의 경우 정서적 요인 또한 중요해 증상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여성 환자가 많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지만 최근 여성호르몬이 턱관절장애 병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했다.

턱관절장애는 턱관절이나 관련 근육, 주위 구조물 등에 이상이 생겨 통증과 기능 장애가 나타난다. 증상을 예방하려면 이갈이, 긴장 시 이 악물기, 한쪽만 씹기, 손톱 깨물기, 혀 내밀기, 껌 오래 씹기 같은 잘못된 습관을 버려야 한다.


특히 성장기에서 턱관절 장애가 생겨 방치하면 관절 부위 뼈 모양이 변하거나 심한 경우 뼈가 덜 자라 얼굴이 비뚤어지는 안면비대칭으로 이어지거나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맞물리지 않는 현상이 생길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