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 사업 선정대학이 발표된 가운데, 탈락한 학교들 사이에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사진은 백홍기 프라임사업 평가위원장. /사진=뉴스1
어제(3일) 프라임 사업 선정대학이 발표된 가운데 탈락한 대학들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탈락한 대학들은 사업 지원에 앞서 학제개편을 진행했으나 이번에 선정돼지 못해 대학 운영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게 됐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3월 30일까지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 신청을 받은 결과 대형 27개, 소형 42개 모두 75개 학교가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이후 1단계 서면평가와 2단계 대면평가를 거쳐 21개 학교가 최종 선정됐다.
대형 유형에서는 건국대, 경운대, 동의대, 숙명여대, 순천향대, 영남대, 원광대, 인제대, 한양대(ERICA) 9개교가 선정됐다. 소형 유형에서는 성신여대, 이화여대, 경북대, 대구한의대, 한동대, 동명대, 신라대, 건양대, 상명대(천안), 군산대, 동신대, 호남대 12개교가 선정됐다.
프라임사업은 교육수요를 반영해 학과를 개편하고 정원을 조정하는 대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때문에 사업 지원에 앞서 각 대학에서는 인문사회계열을 줄이고 공학계열을 늘리는 방향으로 미리 학과 구조조정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선정결과 발표 이후 떨어진 대학들은 그동안 진행해온 정원조정계획이 불투명해졌다. 심지어 사업선정에 총장직을 내놓거나 떨어질 경우 정원조정안을 다시 논의하겠다고 밝힌 대학들도 있어 혼란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경희대학교는 2017학년도에 이과대학 학과정원을 증원하는 방향으로 학제개편을 계획했으나 사업에 선정되지 못했다. 경희대 미래정책원은 "프라임 사업 지원만을 위해 정원 조정계획을 수립한 것이 아닌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 안에서 논의했기 때문에 큰 틀에서는 계획안대로 정원조정을 진행한다"며 추진 시점은 달라질 수 있지만 계획을 그대로 밀고간다는 의견을 밝혔다. 국민대학교도 사업선정에 떨어졌지만 단과대학을 통합·정리하는 내용의 학칙개정(안)을 그대로 진행할 계획이다.
반면 중앙대학교는 공과대학 정원을 1000명 이상으로 증원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사업 탈락으로 계획이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강석 중앙대 교수협의회장은 "프라임 사업 신청에 앞서 사업에서 떨어지면 학부 구조조정에 대해 원점에서 재논의할 것을 본부와 합의했다"며 재논의를 명확히 했다. 지난 3월 28일 인하대학교 학보 '인하대학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프라임 사업에 선정되지 않으면 사표를 내겠다"고 밝힌 최순자 총장의 경우 인하대가 사업에서 탈락했지만 아직 공식 입장은 없는 상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