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승의 날을 사흘 앞둔 지난 12일 충남 논산시 한 고등학교의 스승의 날 기념식에서 학생들이 선생님들에게 꽃을 달아주고 포옹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스승의 은혜에 감사하고 카네이션 등을 전달하는 스승의 날이다. 언제부터 이 스승의 날을 기념하기 시작했을까.
교육부에 따르면 '스승의 날'은 1963년부터 시작됐다. 정확히 말하면 당시엔 '은사의 날'이었다. 1958년 충남 강경여자중고등학교의 청소년적십자 단원들은 병환 중인 선생님을 위문했다. 이것이 계기가 돼 1963년 청소년적십자 중앙학생협의회에서 처음으로 '은사의 날'을 정했다.

최초 '은사의 날'은 5월26일이었다. 1965년 정부는 '은사의 날'을 '스승의 날'로 이름을 바꿨다. 그리고 5월26일에서 5월15일로 그 기념일을 앞당겼다. 이날은 세종대왕 탄신일이다. 겨레의 위대한 스승 세종대왕처럼 인류를 위한 참 스승을 기린다는 의미다.


1965년 5월15일 열린 제1회 스승의 날 행사에서 학생들은 선생님들에게 '스승의 날, 선생님 감사합니다'라고 적힌 리본이 달린 장미꽃을 꽂아드리면서 오늘날과 같은 기념 행사의 모습을 갖췄다.

'스승의 날'은 잠시 폐지되기도 했다. 1973년 정부의 서정쇄신방침에 따라 사은행사를 규제하면서다. 그러나 1982년 전두환 정권은 스승을 공경하는 풍토조성을 위해 '스승의 날'을 부활시켰다. 교육공로자에게는 직접 포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