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AI변호사. /자료=이미지투데이
미국의 대형 법무법인 베이커앤호스테틀러가 '인공지능(AI) 로봇 변호사'를 채용했다.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인 로스 인텔리전스가 제작한 로봇 변호사 '로스'(ROSS)는 변호사 50명과 함께 파산 관련 업무를 맡는다. 로스의 역할은 '머신 러닝'을 통해 수천 건의 관련 판례를 수집해 분석한 뒤 베이커앤호스테틀러가 담당하는 사건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골라내는 일이다. 이 업무는 통상 대학을 갓 졸업한 초보 변호사들이 맡아왔다.
로스는 특정 질문을 받으면 가설을 추론하며 관련 법률 조문을 찾아 제시하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기존 변호사들은 로스의 가설에 추가 질문을 던지는 방식으로 가설을 강화해 나갈 수 있다.
특히 로스는 자연언어 처리 기술이 접목됐기 때문에 단순한 키워드 일치 검색이 아닌 일상 언어를 사용해 수십억개에 달하는 법률 문서들을 분석해 질문에 맞는 답을 찾아나갈 수 있다. 또 기존의 바둑 기보를 바탕으로 학습해 나갔던 알파고와 마찬가지로 질의응답과 기존 판례를 해석해 성장해간다.
로스 인텔리전스의 앤드루 애루더 최고경영자(CEO)는 로스가 IBM의 AI 플랫폼 '왓슨'을 기반으로 제작된 '세계 첫 AI 변호사'라고 주장했다. 그는 "로스는 연관된 판례 구절을 보여주고, (인간) 변호사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면서 "지금껏 변호사들이 써 온 정적 판례 검색 소프트웨어는 원하는 정보를 찾는 데만 수시간이 걸렸다"라고 말했다.
다만 AI 변호사들이 당장 인간 변호사의 위치를 위협할 가능성은 아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밥 크레이그 베이커앤호스테틀러 최고기술경영자(CIO)는 "로스는 (인간) 변호사를 대체할 수단이 아니라 그들이 더욱 빨리 움직이고 배우며, 끊임없이 향상하도록 돕는 보조 도구일 뿐"이라고 말했다.
또 애루더 CEO 역시 "(인간) 변호사는 우리가 만든 시스템의 중심"이라고 말했다. 그는 "로스가 있으면 변호사들은 의뢰인의 변호에 더 집중할 수 있으며, 필요한 구절을 찾느라 수시간씩 판례를 읽는 대신 보다 창조적인 일을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