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오자현판. /자료사진=머니위크DB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현판 중 3개는 색상과 형태가 아니라 글자 자체가 잘못된 것으로 확인됐다.오늘(18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경복궁 교태전 권역의 '보선당'과 함원전 권역의 '자선당', '융화당' 현판은 19세기 말에 제작된 경복궁 평면배치도인 '북궐도형', 조선시대 문헌 '궁궐지', '일성록' 등과 대조했을 때 글자에 오류가 있었다.
이들 현판은 모두 1995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문화재청이 지난 2006년 연세대 국학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고궁현판 학술조사 연구용역' 보고서에 오류가 적시됐음에도 10년간 방치돼 있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교태전 남쪽 행각의 서편에 있는 보선당 현판은 본래 '보의당'이다. 보의는 '천지의 마땅함을 보상하다'는 뜻으로 주역의 '보상천지지의'에서 왔다. 또 함원전 서쪽 행각에 있는 자선당과 융화당은 각각 자안당과 융화당이 올바른 이름이다.
특히 자선당은 경복궁 함원전의 행각이 아니라 세자와 세자빈이 머물던 동궁 건물이다.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자선당은 1999년 복원돼 경복궁에는 한자가 똑같은 '자선당' 현판이 두 개가 있다.
또한 보고서는 함원전 권역의 두 현판에 대해 "1915년 이후 출판된 자료에 나오는 명칭으로 현판을 새로 교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2006년 용역조사를 주도한 김영봉 연세대 강사는 "보의당과 보선당은 '의'자와 '선'자가 비슷해 헷갈린 듯하고, 자선당과 융화당은 잘못된 일제강점기 자료를 참고해 오류가 발생한 것 같다"며 "1995년 현판 복원 당시 북궐도형과 일성록을 확인하지 않은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