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허남식 시장이 기자회견을 열고 신공항 관련 5개 시·도 공동합의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국토교통부의 영남권 신공항 발표를 한 달 남짓 남겨둔 가운데 대구·경북(TK)과 부산 지역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국토부는 다음달 중순쯤 신공항 입지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전면 백지화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영남권 신공항은 오는 2023년 활주로 용량이 포화상태인 김해공항에 대비하기 위해 '동남권 신공항'이란 이름으로 2003년부터 논의됐다. 그러나 경제성 미흡으로 2011년에 무산됐다가 지난해 8월 논의가 재개됐으며 오는 6월 국토부의 입지 선정을 앞두고 있다. 현재 영남권 5개 시·도 중 가덕도를 지지하는 부산과 밀양을 지지하는 나머지 4곳의 입장이 대립하는 상황이다.
지난 2월 국토부가 개최한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용역 중간보고회'에서도 5개 시·도의 견해차는 여전했으며 '평화협정'은 오래가지 못했다. 지난 3월4일 서병수 부산시장이 "국제관문공항을 부산에 건설하는 것이 영남권 상생의 길"이라며 포문을 열었다. 이에 홍준표 경남지사는 도의회에서 "영남권 5개시도 중 부산만 가덕도를 주장하고 있으니 절대적으로 밀양이 유리하다"고 맞받아쳤다. 이후 부산시민단체와 대구 지역의 설전이 이어졌다. 여기에 정치인들의 지원성 발언이 이어지면서 영남권 신공항 입지 여부는 정책을 넘어 정치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전문가들은 정부용역자료에 주목하고 있다. 앞서 국토부의 제주 제2공항 입지 결정에선 사전용역조사에서 지목된 후보지 4곳 중 1곳이 선정된 바 있기 때문이다. 영남권 신공항 또한 용역조사 결과가 입지 선정에 영향을 미칠 공산이 크다. 2009년 발표된 입지조사 연구 자료에선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 밀양의 가산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각에선 제주공항 건설, 인천공항 추가 확장으로 최대 14조원의 재원이 투입돼야 하는 상황에서 영남권 신공항 논의 자체가 무리수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토부는 확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파리공항공단 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의 연구용역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라며 "어느 한 곳의 우세를 특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