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위크DB
대학들이 민간임대주택(뉴스테이) 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특히 지방대학의 경우 정부의 구조조정으로 학생 수가 줄어드는 반면 유휴부지가 늘어 임대주택사업을 타진하고 있다.
1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재정난을 겪는 지방광역시의 대학들이 유휴부지 활용방안으로 뉴스테이 건설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들이 뉴스테이를 추진하는 이유는 학생 수의 감소로 인한 수익성 저하다. 교육부는 2015~2023년 대학 입학정원을 16만명 줄이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2017년 일반대의 입학정원은 49만2812명으로 2013년 대비 8.8% 줄어든다. 서울 대학의 입학정원은 3.8% 감소하는 데 비해 지방대의 경우 10.1%가 줄어든다.


특히 지방 사립대의 경우 등록금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학생 수 감소가 재정난을 야기한다. 대학정보 공시사이트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전체수입에서 등록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상위 30개 대학 중 26곳은 지방대다. 부채비율 상위 30개 대학 중 27곳도 지방대다.

대학 부지는 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로 정해지면 임대사업이 가능하다. 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는 면적의 50% 이상을 뉴스테이 용지로 공급하는 지구로 개발절차 단축 등 건축규제 완화를 적용받는다.

정부는 최근 뉴스테이의 민간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15년 이상 임대하는 뉴스테이 투자자에게 법인세 감면 혜택을 주기로 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대학들은 이미 보유한 부지가 많아 토지 매입의 부담이 적고 적정한 수준의 임대료 산정이 가능하다"며 "좋은 임대주택사업의 모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