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금융감독원
올해 상반기 보험업계의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3.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반기 실적을 두고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의 희비가 극명하게 갈렸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반기 보험사 당기순이익은 4조3245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4조4737억원)보다 1492억원(3.3%) 줄었다.
업권별로 생명보험사는 보험료 증가율 하락으로 1년 전보다 18% 가까이 감소했다. 반면 손해보험사는 손해율 개선에 힘입어 21%가량 증가했다.
생보사의 당기순이익은 2조2970억원으로 5020억원(17.9%) 줄었다. 이는 수입보험료 성장세가 둔화되고 나간 보험금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급보험금 증가율(5.5%)이 수입보험료 증가율(3.9%)을 웃돌아 보험영업손실액이 5000억원 가까이 늘었다. 매도가능증권처분이익 감소(5326억원) 등으로 투자영업이익도 2000억여원 줄었다.
반면 손보사는 3528억원(21.1%) 증가한 2조275억원의 순익을 냈다. 손해율이 84.6%에서 83.1%로 떨어지고 대출채권이자(1053억원) 및 부동산처분이익(1042억원)이 증가 등으로 투자영업이익도 2109억원 늘었다.
보험료와 관련해서는 자동차보험의 증가율이 11.2%로 가장 높았고 일반·장기보험도 성장세를 유지했다.
수익성 지표는 다소 악화됐다. 상반기 보험회사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89%로 전년동기(1.01%) 대비 0.12%포인트 하락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도 1.52%포인트 떨어진 8.68%로 생명보험회사를 중심으로 수익성이 나빠졌다.
6월말 기준 보험사의 총자산은 1002조1983억원으로 1년 동안 98조8308억원(10.9%), 자기자본은 105조8013억원으로 16조4323억원(18.4%)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생명보험회사는 저금리 지속으로 인한 운용자산이익률 하락으로 금리역마진 부담도 가중됐다"며 "역마진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IFRS4 2단계 대비 자본확충 등 재무건전성 확보 및 수익성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