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추석행사. /자료사진=뉴시스 DB
추석을 맞아 서울 곳곳에서 문화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고향에 내려가지 못했거나 혹은 서울로 올라온 이들은 서울 추석행사를 누비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보자.◆서울광장에서 만나는 전통서커스와 줄타기
14~17일 오후 7시~8시30분 서울광장에서 '문화가 흐르는 서울광장 추석특집 전통서커스'가 열린다. 전통 퍼포먼스팀과 줄타기를 전문적으로 보여주는 '솟대쟁이 패'가 무대에 오른다. 공연은 각 치배의 개인기가 돋보이는 사물놀이와 판, 굿, 사자놀이, 버나놀이, 소고놀이를 한데모아 예술적 완성도를 높였다. 궁중무용, 민요도 감상할 수 있다. 문의 (02)2133-2542.
◆시민청 한가위 특별공연
14~16일 낮 12시~오후 5시 시민청 활짝라운지에서 '한가위 특별공연'이 열린다. 시민 아티스트가 무대에 올라 판소리와 전통국악을 선보인다. 14~18일 오전 11시~오후 5시 시민청 시민플라자B에서는 '민속놀이 한마당'이 열린다. 아이와 함께 윷놀이, 투호던지기, 제기차기 등 전통놀이를 즐길 수 있다. 시민청은 15일 추석 당일 휴관한다. 문의 (02)-739-5818.
◆남산골한옥마을 민속놀이 체험
14~16일 남산골한옥마을에서 '오(五)대감 한가위 잔치'가 열린다. 전통가옥 5채에서 세시풍속, 세시놀이, 민속놀이 체험을 비롯해 전통공연과 인형극 등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민씨가옥 안채에서는 선조들의 차례 예절과 문화를 바로 알기 위한 '차례상 해설'을 접할 수 있다. 일상에서 쉽게 접하지 못하는 짚공예, 전통 규방공예 체험, 한지공예 체험 등 아이들을 위한 체험행사도 마련됐다. 문의 (02)2261-0501.
◆서울역사박물관 '한가위 한마당'
16일 오전 11시~오후 5시 서울역사박물관에서 '한가위 한마당' 행사가 열린다. 로비에서는 대표 인기프로그램인 평양예술단의 북한 민속공연이 펼쳐지고 광장에서는 한가위 사물놀이, 문굿 공연, 중요무형문화재 11호 호남 좌도 농악의 전통 풍물 공연을 선보인다. 민속 먹거리 장터에서는 우리 전통음식을 시식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http://www.museum.seoul.kr)에서 확인하면 된다. 문의 (02)724-0274.
◆한성백제박물관 '2016 한가위 박물관 큰잔치'
16~17일 오후 1~5시 한성백제박물관에서는 '2016 한가위 박물관 큰잔치'가 열린다. 제기차기, 투호 등 전통놀이부터 백제 귀족의 놀이문화인 저포와 쌍륙을 체험할 수 있는 이색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중국 산동성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유물 227점이 전시된 국제교류전 '공자와 그의 고향, 산동(山東)'도 무료로 감상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한성백제박물관 홈페이지(http://baekjemuseum.seoul.go.kr/)에서 확인하면 된다. 문의 (02)2152-5833.
◆서울시내 14개 공원 다양한 전통놀이 행사
추석 연휴 기간 서울시내 14개 공원에서 공원별로 각종 전통놀이와 체험행사가 잇달아 열린다. 추석 연휴에 Δ낙산공원 Δ북서울꿈의숲 Δ남산공원 Δ중랑캠핑숲 Δ용산가족공원 Δ월드컵공원 Δ서울숲 Δ보라매공원 Δ용봉공원 Δ시민의숲 Δ푸른수목원 Δ여의도공원 Δ서울어린이대공원 Δ서울대공원동물원을 찾으면 공원마다 특색 있는 추석맞이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서울문화포털 홈페이지( http://culture.seoul.go.kr)에서 공원별 프로그램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한강 달맞이 명소 '베스트 4'
서울시가 추천하는 한강 달맞이 명소 '베스트 4'도 빼놓을 수 없다. 14~16일 '한강 아라호'를 타면 3대가 함께 한강 달맞이를 경험할 수 있다. 65세 이상 노인은 무료로 승선할 수 있다. 14일~16일 3일간 오전 11시~오후 5시 운항한다.
뚝섬 자벌레는 온가족이 함께 가을 구경을 하며 보름달을 맞기 좋은 장소다. 자벌레 1층 전망대는 탁 트인 한강과 황홀한 노을빛을 한 눈에 담기에 안성맞춤이다.
한강전망카페는 한강의 멋진 야경과 함께 달구경 데이트를 하기 좋다. 간단한 식사나 음료를 즐기면서 달구경 할 수 있어 이색적인 달맞이를 경험할 수 있다.
세빛섬은 한강의 멋진 야경과 함께 로맨틱한 달구경 데이트를 하기에 적격이다. 연인과 함께 레스토랑, 펍, 카페 등에서 식사와 음료를 즐길 수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