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자동화 기기 /사진=CJ대한통운 제공

CJ대한통운이 전국 200여개 택배서브터미널의 분류 자동화 설비에 1227억원을 투자한다고 22일 밝혔다.
CJ대한통운은 국내 중소기업과 공동으로 연구•개발한 ‘휠소터(Wheel Sorter)’를 2018년 4월까지 전국 모든 서브터미널에 설치할 계획이다. 휠소터는 컨베이어에 흘러가는 택배박스를 지정된 구역으로 밀어 지역별로 자동 분류하는 장비다. 모든 서브터미널의 분류자동화는 업계 최초다.

분류 자동화는 택배기사의 업무부담을 줄이는 긍정적 효과가 있다. 택배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취급물량과 함께 택배기사들의 분류시간이 꾸준히 늘어왔다. 서브터미널은 택배기사들이 오전에 출근해서 컨베이어에 있는 택배박스 중 담당 지역으로 가는 박스를 분류해 차에 싣고 배송을 출발하는 곳이다. 따라서 이곳을 자동화하면 택배기사 근무여건이 개선돼 서비스품질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게 CJ대한통운의 주장.


총 1227억원이 투자되는 이번 서브터미널 자동화는 10월부터 수도권을 시작으로 광역시, 전국 전역 순으로 순차적으로 시행하며 2018년 4월께 완료 예정이다. 이와 함께 4000억원을 투자한 경기도 광주 수도권 택배메가허브터미널이 2018년 6월 완공되면 허브터미널에서 서브터미널까지 택배 분류의 모든 과정이 자동화된다.